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100502
한자 金若時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경기도 성남시
시대 고려/고려 후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신
출신지 광주(廣州)
성별
생년 1335년연표보기
몰년 1406년연표보기
본관 광산(光山)
대표관직 진현관대제학

[정의]

고려 말, 조선 초 경기도 광주군 출신의 문신.

[개설]

고려 말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절개를 지킨 두문동 72현의 한 사람인 김약시는 태조 이성계가 고려를 멸하고 조선을 건국하자 벼슬에서 물러나 부인과 함께 광주의 금광리(金光里)[현재의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 산골에 은거하였다. 그 후 김약시의 자손이 집성촌을 이루자 세상 사람들이 ‘광산김씨네가 사는 마을’이라 하여 금광리라 칭하였다고 한다.

[가계]

본관은 광산(光山). 호는 음촌(陰村). 신라 왕자 김흥광(金興光)의 19세손으로 아버지는 광성군(光城君) 김정(金鼎)이고, 어머니는 전법사의 판서를 지낸 이방(李昉)의 딸이다. 부인은 여산송씨(礪山宋氏)원주원씨(原州元氏)이며, 아들은 김췌(金萃), 김절(金節), 김원우(金元祐)이다.

[활동사항]

1382년(우왕 8) 사마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대과에 급제한 뒤 여러 벼슬을 거쳐 진현관직제학(進賢館直提學)에 올랐다. 1392년(공양왕 4)에 고려가 망하자 부인과 함께 걸어서 광주(廣州)로 내려가 금광리(金光里) 산곡간[현재의 성남시 단대오거리 자리]에 은둔하였다. 마을 사람들은 그의 의관을 괴이하게 여겨 말을 물어도 대답하지 않았고, 혹은 술과 음식 등을 가져가 대접해도 받지 않았으므로, 그가 살던 동네를 ‘부전어동(不傳語洞)’이라고 불렀다. 항상 하늘을 쳐다보고 슬퍼함이 얼굴에 나타나 사람들은 그의 뜻을 헤아릴 수 없었고, 그가 누구인지도 알 수 없었다. 태조 이성계가 물색하여 그를 찾아 원래의 관직을 주고 억지로 벼슬하게 하였지만, 그는 병을 앓아 앞을 보지 못한다는 핑계로 나아가지 않았다. 태조는 끝내 그의 뜻을 꺾을 수 없음을 알고 대접을 더욱 후하게 하였다. 이후 어서(御書)로서 특별히 성명방(誠明坊)[지금의 서울 남대문과 필동 사이]의 집 한 채를 하사하고 말미에 임금의 호 ‘송헌(松軒)’ 두 글자를 써주었는데, 이는 옛날의 교분으로서 대접한 것이었다.

[묘소]

김약시는 나라가 망했을 때 죽지 못하고 은거한 이유를 조상의 묘역을 지켜야 했기 때문이라고 말할 정도로 효성이 지극하였다. 또한 자신이 죽거든 여기에 장사하되 봉분을 하지 말고 비석도 세우지 말고, 다만 둥근 돌 두 개를 좌우에 두어 망국의 신하임을 표시하는 것으로 족하다 하였다. 그가 죽자 자손들이 그의 뜻을 그대로 따랐다고 한다.

김약시의 묘는 원래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 야산[현재의 신구대학]에 있었으나, 1969년에 이 지역 일대가 성남시로 개발되면서 경기도 광주군 실촌면 삼합리 공민산으로 이장하였다.

[상훈과 추모]

1819년(순조 19)에 광주 유생 유억주 등이 상소하여 이조판서 대제학에 추증되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