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102052
분야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놀이/놀이
지역 경기도 성남시
집필자 안수현

[정의]

대보름날에 여러 사람들 혹은 마을 사람들이 양편으로 나뉘어 줄을 잡아 당겨 승부를 내는 놀이.

[유래]

당나라 봉연(封演)이 쓴 『봉씨문견기(封氏聞見記)』에는 춘추시대 오(吳), 초(楚) 사이의 싸움에서 유래하였다한다. 그러나 풍년을 비는 농경의식으로 그 이전부터 있었던 것으로 본다, 놀이의 초기 이름이 ‘발하(拔河)’로 농경과 관련 있음을 보여준다. 그 밖의 중국의 『수서』, 『전당서』에 의하면 놀이의 목적이 풍양기원(豊穰祈願)이라 적고 있다.

우리나라는 『동국여지승람』에 처음으로 이 놀이에 대한 기록이 보인다.

[개설]

이칭으로는 삭전(索戰), 조리지희, 갈전 등이 있다. 줄다리기는 전국적인 분포를 보여준다. 줄다리기의 줄은 빠르면 한 달쯤 전부터 마을 집집에서 짚을 거두어 준비를 시작한다. 줄은 대개 짚으로 영남지방이나 산간지역은 칡으로 줄을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줄을 만드는 방법도 지역에 따라 다양하다.

줄다리기 의 편가르기는 육지 지방에서는 대개 동부와 서부로 나누며, 섬지방에서는 상촌·하촌으로 나누어 상촌은 남자편, 하촌은 여자편이 된다. 그리고 장가 안 간 총각은 여자편이 된다. 편을 가르고 숫줄과 암줄을 구분한다. 지역에 따라 구분하는 방법이 약간 다르다. 만들 때부터 숫줄과 암줄을 구분한다. 결과적으로 암줄이 이겨야 그해에 풍년이 든다는 점에서는 같다.

[밧줄의 제작]

줄은 몸줄이라 부르는데 너무 크고 무거워서 몸줄 자체로 경기를 할 수가 없다. 몸줄에 벗줄·동줄, 또는 겻줄이라 불리는 작은 줄들을 좌우로 늘여 실제 놀이에서는 이 줄을 당기게 된다. 대략 1m씩의 간격을 두고 지름 10~20㎝, 길이 3~5m 줄을 매는데, 결국 전체 줄은 무수한 발들을 가진 지네모양이 된다.

줄은 미리 암줄과 수줄의 구분하여 만든다. 모두 머리를 ‘머리’ 또는 ‘도래’라고 하는 올가미모양으로 틀어 만든다. 다만 수줄의 도래는 너비가 좁고, 암줄의 도래는 너비가 넓다. 마지막에 줄을 연결할 때는 수줄을 암줄 속에 넣고 나무빗장을 지른다. 이 나무를 ‘고딩이’ 또는 ‘비녀목’이라고 부른다. 여인이 타고 넘어가면 줄이 끊어지거나 진다고 믿기 때문에 밤을 새워 지킨다. 상대편의 여인들은 이 줄을 넘으면 아들을 낳는다는 속신(俗信)이 있어 몰래 넘어가려고 한다. 줄다리기를 시작하기 전에 고사를 지낸다.

[놀이방법]

놀이의 시작을 알리는 징소리가 울리면 양편은 서로 힘을 다하여 줄을 잡아당긴다. 줄다리기는 전체의 힘이 한데 모아져야 하기 때문에, 호흡을 맞추도록 편장이라 불리는 지휘자가 기를 휘두르며 지휘하며 이때 「줄다리기노래」를 부르거나 ‘영차영차’로 힘을 맞추기도 한다.

짧으면 하루, 길면 사흘에 걸쳐 승부가 끝나게 되면 줄은 승자의 소유가 되거나 승패와 관계없이 공동의 소유가 되기도 한다. 마을 입구의 액막이돌[防厄石] 또는 석간(石竿), 당산이나 신목(神木)에 감아두거나 썰어서 논에 거름으로 넣기도 한다. 혹은 줄을 태워 풍년을 기원하기도 한다.

줄다리기 놀이는 마을단위 혹운 군단위로 단결심과 멋을 기르던 놀이이다.

[변이양상]

유명한 줄다리기인 충청남도 당진군 기지시줄다리기, 강원도 삼척기줄다리기, 경상남도 영산 줄다리기와 더불어 판교의 너기더리 쌍룡 줄다리기가 전해지고 있다. 한동안 전승이 끊어졌다가 다시 복원되어 전승되고 있다. 그러나 판교의 개발과 더불어 전승의 양상이 많이 변화될 것으로 보인다.

[현황]

줄다리기 는 우리나라 고유의 민속놀이로 초등학교의 운동회에 해마다 등장한다. 대학의 대동제에는 줄다리기를 재현하는 행사를 하기도 한다.

판교의 너더리 쌍용줄다리기는 현재도 매년 대보름날 저녁에 행해진다. 줄다리기에 필요한 새끼는 행사 이틀 전부터 마련되고 여기에 필요한 볏짚은 800평에서 1000평 정도의 논에서 수확한 양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