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300043
한자 言語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언어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경기도 양주시
집필자 조영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1년 11월 25일~11월 30일연표보기 - 양주군 광적면 소재 조양중학교 전교생을 대상으로 속담, 수수께끼 채록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8년연표보기 - 인천교육대학 최현섭 교수가 양주군 광적면과 백석면의 금기어와 길조어를 조사, 발표

[정의]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 체계.

[개설]

같은 언어라 할지라도 사용 지역 또는 사회 계층에 따라 말의 체계가 분화되는데 이를 방언이라 한다. 양주는 경기도의 서쪽에 자리 잡고 있는 경기도 방언 지역에 해당한다. 우리나라 방언권을 동남 방언·서남 방언·중부 방언·서북 방언·동북 방언·제주도 방언 등 여섯 개의 대방원권으로 나눌 때, 양주는 황해도·강원도·충청북도·충청남도 방언과 함께 중부 방언권에 속하며 대체로 중앙어와 비슷한 성격을 가진다. 양주시는 동쪽은 포천시와 동두천시, 서쪽은 파주시와 고양시, 남쪽은 서울시와 의정부시, 북쪽은 연천군에 접해 있는데, 서울에서 통근이 가능한 지역이므로 외부 사람들과의 접촉이 잦아 표준어권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양주 지역 언어의 음운적 특징]

양주 방언의 자음 목록은 표준어와 마찬가지로 ‘ㅂ·ㅍ·ㅃ·ㄷ·ㅌ·ㄸ·ㅅ·ㅆ·ㅈ·ㅊ·ㅉ·ㄱ·ㅋ·ㄲ·ㅎ·ㅁ·ㄴ·ㅇ·ㄹ’ 등 19개로 구성되어 있다. 모음의 경우 단모음은 ‘이·에·애·위[ű]·외[ő]·으·어·아·우·오’의 10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일부 제보자에게서는 단모음 ‘위[ű], 외[ő]’는 이중 모음 ‘위[wi], 왜[wɛ]’로 발음되기도 하므로 최소한 8개에서 최대한 10개까지 발음된다고 보아야 한다. 이는 단모음 ‘위[ű], 외[ő]’의 지위가 불안정한 모습을 보여서 이중 모음 ‘위[wi], 왜[wɛ]’로 발음되기도 함을 뜻한다.

[양주 지역 언어의 문법적 특징]

양주 방언의 음운 변화의 대표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생적 변이에서 단모음 간의 변이가 두드러진다. 고모음화 현상은 경기 방언의 특징으로 지적되는데, 양주 지역에서 특히 두드러진 경향을 보이는 대표적인 것은 ‘ㅗ→ㅜ’, ‘ㅓ→ㅡ’, ‘ㅗ→ㅓ’, ‘ㅐ→ㅏ’, ‘ㅟ→ㅜ’, ‘ㅟ→ㅣ’, ‘ㅓ→ㅏ’ 같은 것이다. 중모음의 변이로는 ‘ㅕ→ㅔ’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자음의 경우는 경음화, 특히 ‘ㄱ→ㄲ’이 가장 두드러진 경향을 보이는 변이이다.

둘째, 변이 경향은 고모음화와 함께 저모음화의 경향이 강하다는 것이다. 경기 방언의 고모음화 현상은 흔히 지적되나 저모음화 현상은 잘 지적되지 않는데 양주 지역만의 독특한 경향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저모음화 현상으로 ‘ㅐ→ㅏ’, ‘ㅓ→ㅏ’, ‘ㅔ→ㅐ’, ‘ㅔ→ㅓ’, ‘ㅗ→ㅏ’, ‘ㅗ→ㅓ’, ‘ㅚ→ㅐ’, ‘ㅚ→ㅏ’, ‘ㅣ→ㅐ’, ‘ㅣ→ㅏ’, ‘ㅣ→ㅓ’, ‘ㅜ→ㅐ’, ‘ㅜ→ㅔ’, ‘ㅜ→ㅚ’, ‘ㅗ→ㅓ’, ‘ㅜ→ㅗ’ 등이 나타나는데, 이 가운데 ‘ㅗ→ㅓ’, ‘ㅐ→ㅏ’가 두드러진 현상이며, ‘ㅓ→ㅏ’, ‘ㅜ→ㅗ’, ‘ㅔ→ㅐ’, ‘ㅣ→ㅓ’, ‘ㅡ→ㅓ’도 많이 나타나는 현상이다.

셋째, 후설음화 현상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후설음화와 함께 전설음화도 높은 빈도를 보인다. 이들의 구체적인 빈도는 고모음화 57%, 저모음화 43%, 후설음화 55%, 전설음화 45%로 나타난다.

넷째, 결합적 변이에 있어서는 ㅣ 모음동화, 전설 모음화, 구개음화, 자음 첨가가 두드러진 현상으로 나타난다.

[양주 지역 언어의 어휘적 특징]

양주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명사로는 가세[가위], 갈루[가루], 깨고락지[개구리], 그머리[거머리], 그지[거지], 귀경[구경], 곰벵이[굼벵이], 구녁[구멍], 구녁[구멍], 구뎅이[구덩이], 미끄락지[미꾸라지], 버리[보리], 벨거[별것], 삼다[삶다], 슬날[설날], 슫달[섣달], 샥시[색시], 움물[우물], 으므이[어머니], 이얘기[이야기], 지팽이[지팡이], 지렝이[지렁이], 김승[짐승], 할아부지[할아버지], 할무니[할머니] 챔외[참외] 등이 있다.

동사로는 가르키다[가르치다], 가쟈가다[가져가다], 가주다[가지다], 기시다[계시다], 끄치다[그치다], 기달리다[기다리다], 길르다[기르다], 날르다[나르다], 냉기다[남기다], 뎀비다[덤비다], 말르다[마르다], 맥히다[막히다], 말허다[말하다], 몰르다[모르다], 메시다[모시다], 새기다[사귀다], 숭기다[숨기다], 스다[서다] 등이 있다.

형용사로는 가찹다[가깝다], 구찮다[귀찮다], 기푸다[깊다], 으띃다[어떻다], 읎다[없다], 쬐끄맣다[조그맣다], 길다[질다], 허구허다[하고많다], 허얗다[허옇다] 등이 보인다.

부사로는 제우[겨우], 글[그리], 낭중[나중], 날마당[날마다], 도루[도로], 다문[다만], 듬뻑[듬뿍], 엄청[무척], 비스므르[비슷이], 삐뚜루[삐뚜로], 시나루[시나브로], 아적[아직], 여[여기], 일[이리], 인저[인제], 잃게[이렇게], 저구[저기] 등이 있다. 이외 감탄사로는 예봐라[여봐라]가 있다.

[양주 지역 방언의 특징]

이상의 양주 지역 방언의 특징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닿소리끼리의 유동성은 어느 고장 할 것 없이 된소리 경향을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은 현상이지만, 홀소리끼리의 유동성은 특히 경기도 일원에서 ‘어’를 ‘으’로 말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양주도 마찬가지이다. 홀소리끼리의 유동성은 산만해서 일정한 규칙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둘째, ‘이’ 치닮기의 현상인데, 이 현상은 서울을 중심으로 한, 경기도 방언의 공통적인 특징이다.

셋째, 닿소리 ‘ㄱ, ㅎ’이 전설 모음에 이어날 때, 그 발음의 자리로 동화된 입천장소리되기[구개음화] 현상이다. 일반적으로 ‘ㄱ’이 ‘ㅈ’으로 발음되는데, 양주 지역에서는 ‘ㅎ’이 ㅅ‘으로 발음되는 경우도 있다. 입천장소리되기는 남부 지방의 두드러진 특징이며 경기도 전역에 걸쳐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넷째, 소리의 덧남과 줄임이다. ‘ㄱ·ㄴ·ㄹ·ㅁ·ㅇ’ 덧남과 ‘ㄴ·ㄹ·ㅅ·ㅇ’ 줄임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