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300367 |
---|---|
한자 | 內乙買縣 |
이칭/별칭 | 내이미현(內爾米縣)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제도/법령과 제도,지명/고지명 |
지역 | 경기도 양주시 |
시대 |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
집필자 | 김선주 |
경기도 양주에 속했던 현재의 동두천시 지역에 있던 고구려의 현.
475년(장수왕 63) 고구려의 장수왕은 남진 정책을 추진한 결과 백제 도성을 함락하고 개로왕을 사로잡아 죽였다. 이후 고구려는 한강 유역과 양주 일대에 남평양(南平壤)을 설치하였고, 양주를 그 치소로 삼았다. 내을매현(內乙買縣)은 이때 설치되었다.
『삼국사기(三國史記)』[권35, 잡지4 지리2 신라 한주 견성군]에 따르면 사천현(沙川縣)은 본래 고구려 내을매현이었는데, 경덕왕이 이름을 고쳤다고 한다. 『고려사(高麗史)』[권56, 지10 지리 양광도 남경유수관 양주]에는 신라 경덕왕이 고구려의 내을매현 또는 내이미(內爾米)를 사천현으로 고쳐 견성군(堅城郡)의 영현(領縣)으로 삼았고 현종 9년 양주에 내속(來屬)한 것으로 나타난다.
내을매현은 신라의 삼국 통일 후인 757년(경덕왕 16)에 사천현으로 이름을 바꿔 견성군[지금의 포천]의 영현이 되었다. 이후 1018년(고려 현종 9) 양주의 속현이 되었으니, 지금의 동두천시 일대에 해당한다.
내을매현은 고구려의 남진 이후 세워진 양주 지역 현의 하나로, 성을 설치하거나 군현을 둠으로써 양주 일대가 군사적으로 중요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