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회암사지 출토 천순경진명 봉황문 수막새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300589
한자 檜巖寺址 出土 天順庚辰銘 鳳凰紋-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산14-3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서지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1461년연표보기 - 제작
출토|발굴 시기/일시 1998년 - 양주 회암사지 발굴 조사
현 소장처 국립중앙박물관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용산동 6가 168-6]
원소재지 양주 회암사지 -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산14-3지도보기
출토|발견지 양주 회암사지 -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산14-3
성격 명문 기와|수막새
재질 소조
크기(높이, 길이, 너비) 18.5㎝[지름]
소유자 국유[국립중앙박물관]|회암사
관리자 국유|회암사

[정의]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양주 회암사지(楊州檜巖寺址)에서 출토된 ‘천순경진(天順庚辰)’ 명문이 기록된 조선 전기의 수막새.

[개설]

수막새는 목조 건축 지붕의 기왓골 끝에 사용되었던 기와의 한 종류이다. 수막새에 새겨진 무늬는 시기에 따라 변화된 모습을 보여 주고 있어 제작 시기를 추정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 즉 터만 남은 절이나 건물의 창건 및 중창을 포함한 존속 기간을 추정하는 데 결정적인 자료로 활용된다.

회암사지 출토 천순경진명 수막새는 양주 회암사지 발굴 조사에서 다량으로 출토되었으며, ‘천순경진’이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어 제작 시기가 1461년(세조 7)임을 알 수 있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형태]

회암사지 출토 천순경진명 수막새의 지름은 18.5㎝이다. 머리를 오른쪽으로 튼 채 하늘을 날고 있는 봉황 한 마리가 표현되어 있는데, 날개를 활짝 펴고 날갯짓을 하고 있는 모습이다. 봉황의 머리에는 벼슬이 있으며 몸은 크게 ‘S’ 자형으로 틀어서 비상(飛上)하고 있는데, 날개와 꼬리의 깃털 표현이 사실적으로 묘사되었다. 봉황의 부리 옆 부분에는 ‘천순(天順)’이라는 글자가, 길게 늘어진 채 끝이 말려 있는 꼬리의 양옆으로는 ‘경(庚)’ 자와 ‘진(辰)’ 자가 양각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회암사지 출토 천순경진명 수막새를 통해서 회암사(檜巖寺)에서 중창 불사가 있었으며, 당시에 불전을 건립하면서 수막새도 함께 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회암사의 불사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되는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2.11.20 항목명 및 내용 수정 항목명 및 문장 수정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