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300666 |
---|---|
한자 | 晩松洞 遺物 散布地 |
이칭/별칭 | 만송리 유물 산포지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유물 산포지 |
지역 | 경기도 양주시 만송동 659 |
시대 | 고려/고려,조선/조선 |
집필자 | 김선주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97년 12월~1998년 9월 30일![]()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2006년![]()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98년 - 토기 구연편과 백자완, 와구부만 남은 수키와, 옹류의 토기 저부편, 소형 숫돌 |
소재지 | 만송동 유물 산포지 - 경기도 양주시 만송동 659 N37°46′44.4641″, E127°04′39.4032″![]() |
성격 | 유물 산포지 |
경기도 양주시 만송동에 있는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의 유물 산포지.
만송동 유물 산포지는 양주시 만송동 오리골마을의 북쪽 구릉 사면의 평탄한 경작지에 있다.
1997년 12월 양주군의 요청에 따라 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에서 발굴 조사 사업을 시작하여 1998년 9월 30일까지 조사를 마쳤으며, 조사 보고서인 『양주군의 역사와 문화유적』을 간행하였다. 이때 고려 및 조선 시대의 토기나 백자완, 숫돌 등이 채집 보고되었다. 2006년에는 상명대학교 박물관에서 문화재 지표 조사를 실시하였다.
만송동 유물 산포지에서는 고려 및 조선 시대의 생활 유물인 토기 구연편(口椽片)과 백자완(白磁碗), 와구부(瓦溝部)[기왓고랑]만 남은 수키와, 옹류의 토기 저부편(低部片), 소형 숫돌 등이 수습되었다.
조사 당시 만송동 유물 산포지는 양주시 만송동 오리골마을 북쪽 구릉 사면을 평탄하게 경작한 경작지 위에 형성되어 있었으나 현재 국도 3호선 건설 공사로 인해 구릉 서사면의 대부분이 절개된 상태이다.
고려 및 조선 시대의 생활 유물로 보아 만송동 유물 산포지 일대가 일찍부터 삶의 터전으로 이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