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300698 |
---|---|
한자 | 石峴里 岩刻文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지역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석현리 산68-1구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도남 |
조성|건립 시기/일시 | 1642년 - 전설에 의해 추정 |
---|---|
현 소재지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석현리 산68-1구[좌표: N37° 44′ 45.6489″, E126° 56′ 56.4863″]![]() |
성격 | 암각문 |
관련 인물 | 김언방(金彦昉)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석현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암각문.
양주시 장흥면 석현리 개울가에 여러 바위에 ‘문장동천(文章洞天)’을 비롯한 다양한 글자가 새겨져 있는데, 이것이 석현리 암각문(石峴里岩刻文)이다. 원래 동천(洞天)이란 명산(名山)으로 들어가는 입구를 가리키는 말로, 문장동천은 문장동으로 들어가는 입구라는 뜻이다. ‘옥순암(玉筍岩)’·‘분설담(噴雪潭)’·‘관서암(觀書岩)’·‘탄금대(彈琴臺)’·‘천인벽(千仞壁)’·‘쌍류폭(雙流瀑)’·‘운영담(雲影潭)’·‘수렴폭(水簾瀑)’ 등 총 9개의 암각문이 새겨져 있다.
‘문장동천’이라고 쓰여 있는 바위에는 ‘임오오월각(壬午五月刻)’이라고 암각되어 있어 이들 글씨들이 새겨진 시기를 알려 주고 있다.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에 의하면 조선 인조 때 병조 참판을 지낸 김언방(金彦昉)이 화를 피하여 양주 지역에 숨어들어 와 살면서 계곡의 바위 8곳에 특징에 따라 이름을 붙였다고 하며, 그때가 임오년인 1642년(인조 20)이었다고 하나 확실하지는 않다.
장흥관광지를 관통하는 도로를 달리다 돌고개로 올라가는 포장도로를 따라가면 2㎞ 지점의 고개 정상부에 못 미쳐 폭포산장이 자리하는데, 석현리 암각문은 폭포산장 안의 계곡에 위치한다.
‘문장동천’은 가로 36㎝, 세로 130㎝의 크기로 써 있다. 이외 다른 글씨의 크기를 살펴보면, ‘관서암[책을 읽을 만한 바위]’은 가로 36㎝, 세로 76㎝, ‘분설담[폭포의 물이 아래로 떨어지면서 하얀 포말이 뿜어 올라오는 연못]’은 가로 77㎝, 세로 33㎝, ‘수렴폭[마치 병풍을 친 듯이 폭포수가 바위를 타고 떨어지는 곳]’은 가로 77㎝, 세로 27㎝의 크기이다.
1998년 8월 집중 호우 당시 유실되어 파손된 ‘쌍류폭[큰 바위를 끼고 두 갈래의 폭포수가 떨어지는 곳]’은 77㎝, 세로 31㎝이고, ‘옥순암[마치 잘 빠진 대나무[玉荀]처럼 생긴 바위]’은 가로 71㎝, 세로 33㎝, ‘운영담[폭포수가 떨어지면서 하얀 안개가 피어올라 마치 하늘에 구름이 끼는 것과 같은 곳]’은 가로 77㎝, 세로 26㎝, ‘임오오월각’은 가로 17㎝, 세로 74㎝, ‘천인벽[바위가 매우 높다는 것]’은 가로 35㎝, 세로 76㎝, ‘탄금대[비파 혹은 거문고를 연주하던 바위]’는 가로 67㎝, 세로 23㎝이다.
석현리 암각문은 양주시 장흥면 삼하리에 있는 노고산 독재동 추사 필적 암각문(老姑山篤才洞秋史筆蹟岩刻文)[경기도 기념물 제97호]과 함께 양주에 있는 선현들의 암각문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또한 조선 시대 선비들의 기상과 웅혼한 필체를 엿볼 수 있는 역사 교육의 현장으로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