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301553 |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
지역 | 경기도 양주시 덕계동 |
집필자 | 한정수 |
의례 장소 | 농상기싸움 - 경기도 양주시 덕계동 |
---|---|
성격 | 세시 풍속 |
의례 시기/일시 | 음력 6월 중 |
경기도 양주시 덕계동에서 음력 6월 중에 농상기를 놓고 싸움을 벌이던 풍습.
농상기싸움은 양주군 회천읍 덕계리[현 양주시 덕계동]를 중심으로 농번기인 6월 중에 각 마을에서 구성된 농상기패들이 오래된 농상기에 대해 절을 올렸던 풍속이다. 농기(農旗) 혹은 농상기를 만들고 농악을 신명나게 연주함으로써 농번기 중의 힘든 일상을 잊어버리고 더욱 힘을 내게 하기 위하여 농악대를 중심으로 농상기패가 구성되었다.
전통 시대부터 농업은 국본으로 여겨져 권농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지방 사회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농상을 장려하고 힘을 돋우게 하기 위하여 농기를 만들었다. 농기를 ‘용당기·요덕기·덕석기·용술기·서낭기·대기’ 등이라고도 하는데, 여기에는 ‘농자천하지대본(農者天下之大本)’이란 글씨나 용 등이 그려져 있었다. 이러한 농기와 함께 마을 사람들을 중심으로 농악대를 구성하였는데, 이를 ‘농상기패’라고도 부른다. 농상기싸움은 농번기에 지친 일꾼들에게 흥과 힘을 돋우기 위해 각 마을 농상기패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농사 풍속이었다.
덕계리에서는 음력 6월에 이르러 논에 김맬 때가 되면 농상기패를 아침에 꾸몄다. 농상기패는 선소리꾼과 함께 꽹과리·북·징·장구 등 12명 내외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농자천하지대본’이라 쓴 농상기를 세워 놓고, 선소리꾼은 북을 치며 “금년 농사는 잘 된다”라고 하면 나머지 사람들은 “예” 하고 합창을 하였다. 이는 인근 양주군 회천읍 회정리[현 양주시 회정동]와 샘내마을 등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덕계리, 회정리, 샘내마을 농상기패들이 각각 한 곳으로 모여 농상기를 놓고 싸움을 하는데, 가장 오래된 농기에 대해 나중에 만든 농기가 절을 하였다.
농상기싸움은 주로 덕계리를 중심으로 행해진 것으로 보고되었다. 덕계리에는 가장 오래된 농상기를 갖고 있어 농상기패가 여름에 풍물을 치며 들로 일하러 나갈 때 마주치는 이웃 마을 농기는 절을 하며 예절을 갖추어야만 했다. 하지만 절을 안 하면 이를 시비로 하여 격렬한 몸싸움이 벌어졌다. 절을 할 때는 기를 구부리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