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쇠내력」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301601
이칭/별칭 「혀내력」,「혀치레」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경기도 양주시
집필자 이원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80년 11월 17일 - 국가 무형 문화재 제70호로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9년연표보기 - 『양주의 옛소리』에 수록
가창권역 양주시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방성리 618-2지도보기
성격 민요|의식요
기능 구분 의식요
가창자/시연자 김인기|김환익
문화재 지정 번호 국가무형문화재

[정의]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소놀이굿에서 영감이 소의 혀 모양에 대한 질문의 답으로 부르는 의식요.

[개설]

「쇠내력」은 양주소놀이굿의 ‘소마모색 타령’ 중에 나오는 마부의 타령으로서 무당[만신]이 소 혀의 모양을 물어온 것에 대한 화답으로 영감[원마부]이 부르는 소리이다. 이를 「혀내력」, 「혀치레」 등이라고도 한다. 「입내력」 다음에 영감이 「쇠내력」을 시작한다.

[채록/수집 상황]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료총서 제2집 『양주의 옛소리』의 34쪽에 실려 있다. 「쇠내력」은 당시 경기도 양주군 백석면 방성리 주민 김인기[양주소놀이굿 기능 보유자]와 광적면 효촌리 주민 김환익[남, 69]이 소장하고 있는 가사집을 토대로 작성한 것이다. 서로 일치하지 않는 부분은 김인기 소장본을 기준으로 하여 양주문화원 향토사료조사팀이 정리하였다.

[구성 및 형식]

소의 혀를 자랑해야 하는 혀치레 부분인데, 혀의 방언 발음이 ‘새, 세, 쇠’ 등으로 불리는 점에 착안하여 ‘-쇠’로 끝나는 단어를 병렬하고 있다. 각 지역에서 나는 쇠에 이름을 붙이거나 여러 쇠 종류를 나열하였다. 중반 이후에는 뱀과 개호주[범의 새끼] 등 동물의 혀를 가리키는 배암쇠, 갈강쇠를 언급한 다음, 이쇠저쇠 중에 먹쇠가 제일이라고 덧붙이고 있다. 여기서 먹쇠는 남사당패 탈놀이 첫째 마당에 등장하며 먹쇠탈과 말뚝이탈을 겸하여 쓰고 징을 들고 나오는 인물을 가리킬 수도 있고,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먹성이 좋은 남자를 가리킬 수도 있으며, 또는 먹을 때 사용하는 혀를 가리킬 수도 있다.

[내용]

경상도 재령쇠요/ 전라도 부의쇠/ 경기 안성 유기쇠요/ 토찰장철 네루쇠요/ 시우쇠 무쇠 양은쇠/ 방짜 청철구리쇠요/ 만첩산중 썩 들어가/ 산지고 돌진 배암쇠/ 수풀에는 갈강쇠요/ 이쇠저쇠 먹쇠가 제일인데/ 어떤쇠를 찾으시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소놀이굿에 나오는 귀와 혀는 짚신이나 고무신 바닥으로 하며, 고삐는 명주 또는 광목으로 한다.

[현황]

양주소놀이굿은 현재 양주소놀이굿보존회를 통하여 전수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양주소놀이굿은 경기도 북부 지역의 독자적인 무당굿놀이로 재인식될 필요가 있으며, 의의 역시 이 점에서 찾아야 마땅하다. 「쇠내력」에서는 혀의 지역적 방언인 ‘쇠[세]’ 음을 활용하여 ‘-쇠’로 끝나는 다양한 단어들의 내력을 풀고 있는데, ‘-쇠’ 의미의 다양한 범주를 자유롭게 누비고 있다는 점은 언어 유희적 재미와 동음 반복에 의한 운율 형성을 만들고 있다.

[참고문헌]
  • 『양주의 옛소리』 (양주문화원, 1999)
  • 김헌선, 『양주소놀이굿』(양주시, 2006)
  • 양주소놀이굿(http://www.sonory.com/)
  • 한국민속대백과사전(http://folkency.nfm.go.kr/)[‘양주소놀이굿’ 항목 참조]
  •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http://yoksa.aks.ac.kr/)[한국사기초사전 ‘양주소놀이굿’ 항목 참조]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