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301633 |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효촌리 |
집필자 | 이원영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99년![]() |
---|---|
채록지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효촌리
![]() |
성격 | 민요|노동요|제분 정미요 |
기능 구분 | 공산 노동요 |
가창자/시연자 | 전상녀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효촌리에서 방아를 찧을 때 부르는 노동요.
「방아찧기 노래」는 수확한 곡식의 깍지를 벗기고 쭉정이를 골라 알곡을 걸어내기 위해 방아를 찧을 때 박자에 따른 동작의 통일성과 일의 수고를 덜기 위하여 부르는 제분 정미요이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료총서 제2집 『양주의 옛소리』의 149쪽에 실려 있다. 「방아찧기 노래」는 당시 경기도 양주군 광적면 효촌리 주민 전상녀[여, 69]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곡식을 방아로 찧는 과정에 불리는 「방아찧기 노래」의 사설은 빨리 방아를 마저 찧고 밤마실을 나가 임을 만나고 싶다는 내용이 덧붙여져 있다. 후렴구는 따로 기록되어 있지 않다.
찌어라 굴러라 찌어보자/ 얼른찧구 밤마실가자/ 쌀을랑 찌어다가/ 맹개길주구/ 며나릴랑 캐다가/ 임반찬하세/ 궁딱궁떨커덩 찌는방아/ 우리야임 방아.
방아는 곡식을 찧거나 빻는 기구로 곡식을 도정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데, 한편 방아 찧는 과정을 성행위에 빗대어 성적 욕구에 대한 농담을 표현하기도 하였다.
「방아찧기 노래」는 소리를 아는 가창자가 감소하고, 이와 함께 도정하는 농기계 사용의 보급으로 인하여 직접 방아를 찧는 경우가 줄어들면서 농요 가창 문화가 사라지고 있다.
「방아찧기 노래」를 부르면서 일의 고됨을 줄이고 재미있게 일하려고 했던 과거 농민의 흥과 유희적 측면을 감상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