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301649 |
---|---|
한자 | 戀情謠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경기도 양주시 |
집필자 | 이원영 |
경기도 양주에 속하였던 의정부시 가능동 지역에서 애정을 표현한 유희요.
「연정요」는 경기도 의정부시에서 전승되는 일반 민요로 사랑하는 임을 한양으로 떠나보낸 후 원앙새의 쌍쌍이 어울리는 것이 부러워 임을 그리워하며 부르는 가창 유희요이다.
1978년 양주군지편찬위원회에서 발행한 『양주군지』에 실려 있는데, 이는 당시 양주군[현재 양주시]에 소속되어 있던 의정부읍 가능리 주민 박태순으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1981년 조희웅 외의 학자들이 조사, 정리하여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간행한 『한국구비문학대계』의 1-4권에도 「곰보 타령」, 「연정요」, 「시집살이요」 등의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또한 『한국민요대관』에도 이윤정이 채보한 「연정요」 자료가 실려 있는데, 제보자 정보에는 경기도 의정부시 가능동 주민 박태순으로 나와 있다.
「연정요」는 창문을 반만 열고 밖을 쳐다보던 여인이 원앙새 한 쌍이 자연 속에서 자유롭게 사랑을 나누는 것을 부러워하며 떠난 임을 그리워하고 있는 장면이 노래로 읊어진다. 한양 천 리 먼 길을 떠난 임에게 조심해서 잘 가라는 걱정 어린 당부를 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자신을 잊지 말고 돌아오길 바라는 마음도 조심스레 나타내고 있다.
「연정요1」
한분창문 반만열구/ 동정을 내다보니/ 보리쌍쌍 원앙새는/ 너의연분도 부럽구나/ 만경창파 방을삼고/ 연화수다가 옷을짓고/ 이리떠두 둘이나쌍쌍/ 저리떠두나 둘이나둥둥/ 소상강에 원소리는/ 이와같이도 슬피나우니/ 한양천리 먼먼길리/ 어린선도 앞세우고/ 주의주의 잘가시고/ 순순이나 시어가오/ 정들었나 잠들었나/ 만쳐보고 찾아가소[제보자: 의정부읍 가능리 주민 박태순].
「연정요2」
반분//창문//반만//열고//동정을//내다보니
오리//쌍쌍//원앙새는//너울//연분도//불었구나
만경창파//방을//삼고//연화수다가//옷을//입고
이리//떠도//둘이나//쌍쌍//저리//떠두나//둘이나//둥둥
서산강의//원성은//그와 같이도//슬픈 거니//그와 같이도//슬피나 우니
한양//천 리//먼먼//길이//○○//선도//앞세우고
두리두리//잘 가시고//순순히나//쉬어가소
정들었나//참들었나//만져보고//자다가//또//만져보고[경기도 의정부시 가능동 주민 박태순].
1963년에 경기도 양주군 의정부읍이 의정부시로 승격되었다. 「연정요」 자료는 1978년 『양주군지』를 편찬할 당시 양주군에 소속되어 있던 의정부시 거주자에게서 채록한 것이다.
다른 제보자들을 통해 박태순과 같은 사설의 「연정요」 전승이 채록되지 않았기에 전승 현황에 대한 내막은 자세히 알 수 없다.
여성의 심정을 문학적 비유와 절제된 감정 표현을 통해 자유롭게 담아내고 있다는 점에서 민요를 가창하는 민중의 자족적인 동기와 노래 가사와 창곡을 통해 즐거움을 추구하는 목적을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