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400389 |
---|---|
한자 | 三光鳥 |
이칭/별칭 | 긴꼬리딱새│검은긴꼬리새 |
분야 | 지리/동식물 |
유형 | 동물/동물 |
지역 | 전라남도 영암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채희영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12년 5월 31일 - 삼광조 멸종 위기 야생 동·식물 Ⅱ급으로 지정 |
---|---|
지역 출현 장소 | 월출산 국립 공원 -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개신리 |
지역 출현 장소 | 월출산 국립 공원 -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
성격 | 조류 |
학명 | Terpsiphone atrocaudata |
생물학적 분류 | 동물계〉척색동물문〉조류강〉참새목〉딱새과 |
서식지 | 비교적 낮은 산의 어두운 숲 |
몸길이 | 44.5㎝[수컷]|18.5㎝[암컷] |
새끼(알) 낳는 시기 | 5~7월 |
[정의]
전라남도 영암군 일대에서 관찰되는 딱새과의 희귀한 여름 철새.
[개설]
우리나라와 일본에는 여름 철새로 찾아오지만 대만과 필리핀에는 텃새로 서식하고 있다. 겨울에는 중국 동부와 대만을 거쳐 중국 남부·말레이 반도·수마트라 등에서 월동한다. 긴꼬리딱새라고도 하며 북한에서는 검은긴꼬리새라고 부른다.
골프장과 도로 건설 등으로 서식지가 파괴되고, 먹이가 부족해져 개체 수가 많이 감소하고 있는데, 2012년 5월 31일 멸종 위기 야생 동·식물 Ⅱ급으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다.
[형태]
몸길이는 수컷 44.5㎝, 암컷 18.5㎝이다. 수컷은 백색형과 밤색형 두 종류가 있다. 백색형은 겨울깃이 이마에서 뒷머리까지 푸른색 금속광택이 있는 검은색이며, 머리꼭대기 깃털은 관 모양이다. 몸 윗면은 흰색이지만 검은색의 깃 가장자리가 있어서 회색빛으로 보인다. 머리 옆, 목 옆, 턱밑, 턱 아래 부위는 푸른색의 금속광택이 있는 검은색이다. 몸 아랫면은 흰색이다. 밤색형은 부리와 눈두덩은 파란색이며, 머리 전체, 목 옆, 목 앞은 금속광택이 강한 어두운 푸른색이다. 등과 어깨는 자색 광택이 있는 붉은 밤색을 띤다.
암컷의 꼬리는 수컷에 비해 매우 짧으며, 몸 윗면은 수컷보다 연한 적갈색이다. 겨울깃은 머리 부분이 푸른 광택이 있는 검은색으로 왕관 모양의 깃이 수컷보다 짧다.
[생태 및 사육법]
과거에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최근에는 활엽수림이 분포하는 제주도 및 남부 지방을 중심으로 번식하고 있다. 주로 전라남도 함평군과 제주도, 경상남도 거제도 등 남해안의 도서 지역에서 관찰되고 있다. 삼광조는 비교적 낮은 산의 어두운 숲에 서식한다. 인공 조림지, 접목림, 낙엽활엽수림 등 주로 물이 있는 저지대나 계곡이 있는 활엽수림 지역을 선호한다.
둥지는 큰 나무의 작은 가지에 나무껍질을 주재료로 해서 컵 모양으로 만든다. 암수가 함께 생활하며 번식기에는 일정한 세력권을 점유하며, 다른 개체가 오면 싸워 쫒아 버리고 자기의 세력권을 지킨다. 주로 나무 꼭대기에서 생활하고, 땅 위에 내리는 일은 거의 없다.
5~7월에 3~5개 정도의 알을 낳는다. 알은 흰색이나 장밋빛 바탕에 붉은 갈색과 엷은 자주색 얼룩점이 있다. 주로 동물성 중 곤충류를 주식으로 하는데, 딱정벌레목·메미목·메뚜기목·잠자리목·나미목 등과 거미류를 먹는다.
[현황]
2004년 제주도 서귀포에서 8개체, 2005년 전라남도 여수시 금오도와 2006년 전라북도 진안군에서 1개체, 2008년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진해 지역에서 5개체를 관찰한 기록이 있다.
또 2009년 전라남도 신안군 홍도에서 2개체를 관찰한 기록이 있으며, 2009년 제주도에서 12쌍, 전라남도 함평군에서 1쌍이 번식한 기록이 있다. 가장 최근에는 2012년 6월 1일 월출산 국립 공원 천황사 야영장에서 1개체를 관찰한 기록이 있다. 우리나라에 찾아오는 삼광조의 개체 수는 50개체 정도로 추정되지만, 정밀 조사가 이루어지면 이보다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1998년·2009년의 월출산 국립 공원 ‘자연 자원 조사’와 2011년 월출산 국립 공원 ‘자원 모니터링’에서 소수의 개체가 확인된 기록이 있다. 이런 결과로 볼 때 월출산 국립 공원을 중심으로 소수의 개체군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월동기가 끝난 5월경에 영암군 일대에서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