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501181
한자 大里-洞祭
영어공식명칭 Village Ritual in Dae-ri
분야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의례/제
지역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대2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강중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시작 시기/일시 조선시대 - 대리 한골마을 동제, 마을 성립 초기 추정
의례 장소 동제당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대리 지도보기
의례 장소 봉화산 봉수대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대2리 지도보기
성격 의례|제
의례 시기/일시 정월대보름/자정
신당/신체 동제당/돌|동제당/참나무

[정의]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대2리 한골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개설]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대2리 한골마을에서는 정월대보름 자정에 마을의 제당(祭堂)에 당제(堂祭)를 지낸다. 대리에서는 봉화산에 있는 봉수대에 매년 산신제(山神祭)를 지내는 것이 특이하다.

[연원 및 변천]

대2리 한골마을에서 언제부터 동제를 지냈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대2리 한골마을의 동제는 절차와 제일(祭日) 등이 간소화되고 있다.

대2리의 산신제는 1910년 일제(日帝)에 의해 강제 병합이 강행되자 마을의 주민들이 봉수대에 올라 간단한 제물(祭物)올 놓고 일제를 산신(山神)의 힘으로 물리쳐 달라고 고사를 지낸 것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고사를 지낼 때 한 할머니가 나타났다는 일화가 전해 내려온다.

[신당/신체의 형태]

대2리 한골마을의 동제당은 26.4㎡ 정도의 블록 건물로 슬레이트 지붕을 올렸다. 제당 앞에는 신체(神體)인 돌이 있으며 당목(堂木)으로 참나무를 모신다.

[절차]

대2리 한골마을의 동제는 정월대보름 자정에 지내며 제관(祭官)은 두 명을 뽑는다. 제물은 메[밥]·갱[국]과 어물 세 종류, 과일 세 종류를 깎아서 쓴다. 제상(祭床)은 원위(元位)와 부위(副位)의 두 상을 차린다. 제의(祭儀)는 분향(焚香), 재배(再拜), 헌(獻), 소지(燒紙), 음복(飮福)을 행하는 유교식 제사로 진행한다.

한골마을에서는 음력 4월 8일 아침 봉화산에 남아 있는 봉수대의 유적에게 산신제를 지낸다. 산신제에는 대1리, 대2리 주민 모두가 참여한다. 제관 및 유사(有司)는 제의가 끝난 이후 음복하는 동안에 대1리대2리가 번갈아서 다음 제관을 선출한다. 제관과 유사는 일 년 동안 여러 금기(禁忌) 사항을 지키고, 일주일 전에는 몸을 청결히 한다. 4월 7일이 되면 주민이 해마다 봉화산에 올라 주위를 깨끗이 청소한다. 4월 8일의 제의에는 제관 세 명과 짐꾼 두 명으로 모두 다섯 명의 주민이 참가한다. 제물은 어물로는 가자미·명태·꺽지의 세 종류를 쓴다. 과일도 대추·밤·건시[곶감] 등 세 종류를 쓴다. 탕은 원위와 부위에 각 하나이다. 제의는 분향·재배·헌[잔]·소지의 순으로 진행한다.

[현황]

대2리 한골마을은 오늘날에도 정월대보름의 동제와 초파일의 산신제를 지내는 전통을 이어나가고 있다.

과거에는 봉수대에 올리는 산신제가 인근의 다섯 마을이 같이 모시는 큰 행사였으나, 시대의 변화에 따라 오늘날에는 대리가 중심이 되어 지내고 있다. 봉수대에 올리는 산신제는 인근 마을 전체의 평안을 기원하는 의미를 가진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