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900384
한자 土器
영어음역 Togi
영어의미역 Pottery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기도 용인시
집필자 김충배

[정의]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출토된 흙을 빚어 불에 구워 만든 용기.

[개설]

우리나라에서 토기는 신석기시대부터 사용되었다. 이 시기의 토기는 빗살무늬 토기로 통칭한다. 빗살무늬 토기는 입구가 넓고 바닥은 뾰족하여 포탄을 거꾸로 뒤집어 놓은 모양이다. 청동기시대의 토기는 무문 토기로 통칭되며, 바닥이 납작해지고 문양은 점차 축소되거나 없어진다. 그러나 입구를 두겹으로 겹쳐 만든 후 몸통과 겹쳐진 입구가 만나는 부분에 짧은 빗금을 그어 넣거나 입술 부분에 일렬로 구멍을 뚫어 놓은 것들도 있다. 초기 철기시대에는 토기의 입술 부분에 점토띠를 말아 붙인 점토대 토기가 등장한다. 또한 목이 길고 겉면에 검게 연을 입혀 문질러 만든 흑도(黑陶)가 등장하기도 한다.

원삼국시대에는 녹로를 본격적으로 이용하여 만든 토기들이 등장한다. 용도에 따라 거친 태토(胎土)를 갖춘 납작 바닥의 무문 토기들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 시기의 무문 토기들은 입술이 바깥쪽으로 살짝 벌어진 것이 특징이며, 이러한 외형적 특징을 갖춘 토기를 중도식(中島式) 토기로 부르기도 한다. 또 녹로를 이용하여 바닥이 둥근 항아리를 만드는데, 이 토기들은 기벽이 얇고 연질이다. 이러한 얇은 토기는 기벽(器壁)을 두들개로 두드려 가며 만들기 때문에 토기의 겉면에는 두드림 자국에 따라 삿자리 문양이나 가는 격자 문양 등이 생긴다. 이를 타날문(打捺文) 토기라고도 부르지만 적합한 학술 용어로 보기는 어렵다.

삼국시대에는 이전 시대의 토기 전통이 이어지면서 더욱 세련되고 경도(硬度)가 향상된 토기들이 등장한다. 소성 온도는 1,000도를 넘으며 두드리면 쇳소리가 날 정도록 단단하고 경도가 높은 토기들이 만들어진다. 또 기종도 다양해져 시기와 지역의 문화적 성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분포 현황]

용인 지역에서는 우리나라 전시기의 토기가 고르게 분포한다. 여러 유적들이 급속한 도시 개발과 더불어 시행되는 각종 택지 개발 사업에 따라 조사되어 다양한 토기들이 알려져 있다. 특히, 한강 이남에서 보기 어려운 고구려 유적이 조사되고 신라의 한강 유역 진출 시기에 조성된 용인 보정동 고분군에서는 통일 전단계의 신라 토기가 발견되었다. 용인 지역에서 출토된 토기들은 시대별로 다종 다양하지만 대체로 중부 지역이라는 지역적 특색이 잘 반영되어 있다.

[선사시대]

신석기시대 빗살무늬 토기로는 상갈동 유적의 토기들이 알려져 있다. 이 유적에서 출토된 빗살무늬 토기들은 대부분 파편전한 형태를 갖춘 것은 많지 않다. 최근에는 기흥IC 부근의 도로 확장 공사 구간에서 신석기시대의 집자리들이 다수 발견되면서 세 부분으로 구분된 구분문계 토기들이 출토되었다.

죽전동 대덕골 유적에서는 신석기시대 빗살무늬 토기 파편이 일부 출토되었고, 구릉 정상부에 위치한 청동기시대 장방형 주거지에서는 발형(鉢形) 또는 심발형(深鉢形)의 공렬(孔列) 토기가 다수 출토되었다. 또한 구릉 사면부의 수혈 유구에서는 원형 점토대 토기와 긴 굽을 갖춘 두(豆), 토기 뚜껑 등이 출토되었다.

[삼국시대]

죽전 대덕골 유적의 백제 토광묘와 상갈동 유적·마북리 백제 토광묘·보정리 유적 등에서는 직구단경호(直口短頸壺)·단경호·심발형 토기 등의 백제 토기가 다수 출토되었다. 수지 백제 주거지에서는 고배류(高杯類)와 함께 합(盒)과 삼족(三足) 토기 등의 특징적인 토기들이 출토되기도 하였다.

보정동의 고구려 석실분에서는 2점의 고구려 토기가 출토되었다. 2점 모두 짧은 목의 외반구연호류(外反短頸壺類)로 한 점은 검은 간토기이고 한 점은 붉은색을 띠는 다소 연질의 토기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