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300142
한자 平野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기도 양주시
집필자 김종혁

[정의]

경기도 양주시에 분포하는 기복이 거의 없는 넓은 토지.

[개설]

양주시는 크게 한강 유역권과 임진강 유역권으로 나뉜다. 한강 유역권은 구체적으로 중랑천 유역권과 공릉천 유역권인데, 양주1동과 양주2동광사동, 고읍동, 만송동 일부 지역이 중랑천 유역권에, 그리고 장흥면 전역이 공릉천 유역권에 속한다. 두 지역을 제외한 양주시 전역은 신천 유역에 속한다. 양주시의 평야는 이 하천 연안에 형성된 충적층이 거의 전부이다.

[형태]

양주시의 해발 고도는 중랑천, 공릉천, 신천의 세 하천과 그 지류의 연안 지역을 제외하면 모두 100m를 넘는다. 더불어 양주시는 중랑천, 공릉천, 신천이 모두 양주에서 발원하는 최상류 지역이라 충적층의 발달이 미약하다. 이 중 공릉천중랑천·신천과의 분수계를 이루는 산지는 고도가 높아 공릉천 유역의 장흥면은 완전히 단절된 느낌이 들고 충적지의 분포도 가장 적다.

한편, 중랑천 유역과 신천 유역의 분수계 중 낮은 부분은 해발 고도가 100m에도 미치지 못해 해발 고도 100m 선으로 산지와 평야부를 구분한다면 두 유역은 연결되어 마치 하나의 유역처럼 보인다. 이 지점이 샘내고개로 이곳으로 경원선 철도와 국도 3호선이 지난다. 이러한 지형 조건 하에 양주시의 평야부는 이른바 곡저 평야(谷底平野)의 형태로 분포해 있다. 장흥면에서는 일영리의 장흥유원지에서 장흥면사무소를 지나 일영역까지의 저지(低地)가 가장 대표적인 평야 지역이다. 이 지역을 흐르는 하천이 석현천(石峴川)인데 일영역의 남쪽에서 공릉천으로 입수한다.

신천 유역권에서는 불곡산을 중심으로 한 중앙부의 산지 좌우에 충적지가 분포하는데 동쪽의 청담천(淸潭川)회암천(檜岩川) 연안의 충적지가 신천 본류 및 입암천(笠岩川)·효촌천(孝村川) 연안의 충적지보다 좀 더 발달한 것처럼 보인다. 전자의 충적지는 중랑천의 충적지와 물론 연결되지는 않았지만 산세가 약해 마치 연속적인 것처럼 보이기 때문일 수도 있다.

[변천 및 현황]

이들 충적지는 1970년대까지 일부가 시가지와 도로 등으로 이용되고 거의 대부분은 논이나 밭으로 이용되었다. 이후 1980년대에 당시 회천읍으로 영세 제조업체들이 이전해 오고 서울과 의정부시가 팽창하면서 시가지가 넓어졌다. 1990년대에 본격적으로 양주 지역이 개발되면서 양주의 평야라고 할 수 있는 기존의 충적지에 대단위 아파트나 도로가 들어섰다.

2011년 현재 양주시의 모습은 불곡산 일대의 녹지와 시 경계를 이루는 외곽 녹지가 도넛 모양을 이루고, 큰 원과 작은 원 사이의 저지대는 농경지가 아닌 시가지로 채워진 형국이다. 이 저지는 신천 연안의 동두천시와 중랑천 연안의 의정부시로 연속된 만큼 시가지도 연속적 나타난다. 이 초록색 산지와 회색 시가지로 이루어진 도넛 모양은 거의 완전한 원형을 이룬다.

[참고문헌]
  • 『양주군지』 (양주문화원, 1992)
  • 양주시청(http://www.yangju.go.kr/)
  • 위키백과사전(http://ko.wikipedia.org/)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