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일전쟁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100408
한자 淸日戰爭
영어공식명칭 Sino-Japanese War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충청남도 아산시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김기승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단 시기/일시 1894년 3월 - 동학농민혁명 발발
발생|시작 시기/일시 1894년 6월 8일연표보기 - 청국 군대 아산만 백석포 1차 상륙
전개 시기/일시 1894년 6월 10일연표보기~6월 12일연표보기 - 청국 군대 아산만 백석포 2~4차 상륙
전개 시기/일시 1894년 6월 25일 - 청국 군대 400명 증파
종결 시기/일시 1894년 7월 30일 - 일본군 공격으로 아산 주둔 청국 군대 패배
특기 사항 시기/일시 1894년 9월 12일 - 충청도 천안에서 동학당에게 일본인 6명 피살
발생|시작 장소 청국 군대 상륙지 -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백석포리 지도보기
종결 장소 청국 군대 패배지 - 충청남도 아산시|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성격 사건
관련 인물/단체 섭사성|섭지초|이중하|안교선

[정의]

청일전쟁 시기 청국 군대가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 주둔하면서 일본군에게 패배할 때까지 지역민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힌 사건.

[개설]

청국 군대는 1894년(고종 31) 6월 8일부터 25일까지 순차적으로 2,800명을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 상륙시켜 주둔하였고, 7월에는 2,300명을 증파하여 모두 5,100명이 주둔하게 되었다. 아산과 인근 지역에서는 청국 군대의 주둔 비용을 부담하기 위해 인력과 물자가 동원되어 많은 희생을 치렀다. 또한 청국 군대의 규율이 엄정하지 못하여 민폐가 심하였다. 같은 해 7월 30일 청국 군대는 일본군에게 공격을 받아 성환과 아산 전투에서 패배하였다.

[역사적 배경]

1894년 3월 동학농민혁명이 일어나 농민군이 전주성을 점령하자 6월 1일 조선은 청국에 파병을 요청하였다. 청국은 인천과 아산 두 군데로 나누어 파병하였다. 아산에 파견된 청국 군대는 총병(總兵) 섭사성(聶士成)이 이끄는 육군 900명과 제독(提督) 섭지초(葉志超)가 이끄는 육군 1,500명이었는데 6월 8일, 10일, 11일, 12일 연이어 아산의 백석포에 상륙하였다. 6월 25일에는 400명이 증파되어 아산에 상륙한 청국 군대는 모두 2,800명 정도가 되었다.

조선 정부에서는 공조참판 이중하(李重夏)를 영접관으로 임명하여 아산에 파견하였다. 이중하는 온양군수와 아산현령 등의 지방관과 협력하여 청국 군대의 상륙을 도왔다. 동원된 조선의 관병과 지역민들은 거룻배로 청국 군함까지 가서 군인과 말과 무기들을 내륙의 포구로 운송하였다. 갯벌을 통과해야 할 경우에는 동원된 주민들이 군인들을 업어서 상륙시켰다.

[경과]

아산의 백석포에 상륙한 청국 군대는 인근 마을과 야산에 부대별로 흩어져서 천막을 치고 숙영하였다. 일본 측 정보에 의하면 천막은 80여 개 정도인데, 천막이 25개 정도로 모여 있는 부대도 있었고, 5~10개의 천막이 모여 있는 작은 부대도 있었다고 한다. 또한 아산현의 객사에 숙영했다는 정보도 있었다.

조선에서는 청국 군대에 식량과 말을 제공하였는데, 군사의 식량으로는 쌀과 소, 말 먹이로는 대두가 징발되었다. 당시 청국 군대를 접대하기 위해 군관과 군역에 동원된 일부 인원에 대해 지급한 비용을 기록한 『아산현청국군병주찰시전용하성책(牙山縣淸國軍兵駐紮時錢用下成冊)』이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군관급 1,024명에 7,514.9냥, 병사급 7,828명에 2만 7825.8냥, 잡역 2만 6097명에 8만 2545.65냥, 모두 3만 4939명에게 11만 7939.35냥이 지급되었으며 8,599필의 말 먹이로 대두 4만 6798되[약 6만 5517㎏]가 지급되었다. 군역의 동원과 비용이 지역민들의 부담이 되면서 아산과 인근 지역민들 사이에서는 불평불만이 생겨났다. 게다가 군율이 엄격하지 않아 청국 군인들이 마을을 마구 돌아다니며 행패를 부렸기 때문에 청국 군대에 대한 지역민들의 반감도 생겨났다.

청국 군대가 아산에 상륙한 직후인 6월 10일 동학 농민군은 전주 화약(全州和約)을 맺어 해산하였다. 동학 농민군 진압을 위해 이동할 명분이 사라졌으므로 청국 군대는 아산에 계속 머물렀다. 일본군이 인천에 상륙하여 북쪽에 주둔하고 있어서 북상할 수도 없었다. 청국에서는 일본군과의 전쟁에 대비하여 2,300명의 군대를 증파하여 아산에 상륙시켰다. 이로써 아산에 주둔한 청국 군대의 규모는 5,100명이 되었다.

청국에서는 일본에 동시 철병을 요구했으나 일찍부터 전쟁을 계획했던 일본군은 7월 25일 아산만 풍도(豊島)에서 청국 함대를 공격하였다. 해상에서 청일 간의 전투가 벌어지자 아산에 주둔하였던 청국 군대는 일부 군수물자를 관리하는 군사만을 남기고 7월 28일 성환으로 이동하여 일본군의 남하에 대비하였다. 일본군은 7월 30일 새벽 성환 월봉산 일대에 주둔하고 있던 청국 군대를 공격하여 패퇴시켰다. 또한 남쪽으로 후퇴하는 청국 군대를 추격하여 아산으로 왔다. 아산은 청국 군대의 주둔지였고, 지역민들은 청국 군대를 지원했었다. 게다가 일부 군수 부대가 남아 있었다. 따라서 승리감에 도취한 일본군은 도망치는 청국 군대 소탕을 명분으로 아산 지역 곳곳을 분탕질하면서 지역민들을 괴롭혔다.

[결과]

청일전쟁의 직접적 피해를 입은 아산 지역민들 사이에서는 외세의 침략에 대한 저항의식이 높아졌다. 특히 일본에 대한 반감은 더욱 컸다. 1894년 9월 12일 천안군 수접리에서는 일본인 6명이 주민들에 의해 피살되는 사건이 벌어졌다. 다리를 수리하고 있던 주민과 동학도들이 다리를 지나려고 하던 일본인을 저지하는 과정에서 충돌이 벌어졌고, 이 과정에서 일본인이 사망하게 된 것이다. 주민들과 동학도들은 이 사건을 조사하러 온 일본 경찰을 위협하였다. 이 사건 이후 아산과 인근 지역에서 동학에 입도하는 주민이 증가하였고, 아산 지역 동학농민혁명이 격화되는 도화선이 되었다.

[의의와 평가]

청국 군대의 아산 주둔과 청일전쟁은 아산 지역에서 동학농민혁명항일 의병 활동이 일어나는 배경이 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