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100956 |
---|---|
한자 | 講堂寺 |
영어공식명칭 | Gangdangsa Temple |
이칭/별칭 | 강당절,외암서사,외암정사 |
분야 | 종교/불교 |
유형 | 기관 단체/사찰 |
지역 |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강당로 300[강당리 320]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석용현 |
[정의]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강당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 사찰.
[개설]
강당사(講堂寺)는 강당리 광덕산 북쪽의 강당골계곡 옆에 있는 사찰로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麻谷寺)의 말사이다. 강당[외암정사] 자리에 생긴 절이어서 붙여진 이름이며, 예전 주민들은 ‘강당절’이라고도 불렀다. 계곡과 마을 이름도 모두 외암정사로 인하여 생긴 이름이다. 강당사는 유교문화와 불교문화가 공존하는 특별한 절이다.
[건립 경위 및 변천]
강당사는 본래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외암리 출신의 조선 후기 학자이자 영조 때 경영관에 제수되었던 외암 이간(李柬)[1677~1727]이 짓고 벗인 천서(泉西) 윤혼(尹焜)과 함께 학문을 강론하던 외암정사였다. 스승인 수암(遂菴) 권상하(權尙夏)로부터 ‘관선재(觀善齋)’라는 당호를 받았다. 이간 사후에 영당(影堂)을 거쳐 1816년경부터 서원 성격의 외암서사로 기능이 바뀌었다. 1868년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이 내려지자 이를 모면하고자 가까운 공주 마곡사에서 불상 한 구를 모셔다 봉안하고 승려를 모셔옴으로써 사찰로 위장하고 철폐를 모면하였다. 이로써 강당사라는 사찰이 시작되었고 관선재와 공존하였다. 1999년에 문 밖 남쪽 산기슭에 대웅전을 새로 지었고 법당으로 쓰던 자리에는 『외암유고』의 목판을 보관하는 외암집판장, 외암과 천서의 제사를 지내는 문천사 등으로 쓰이는 건물을 새로 건립하였다.
[활동 사항]
강당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사찰로 불사를 행하면서 관선재를 관리하는 역할도 담당해 왔다. 1995년에 비구니인 월해, 종민 스님이 온 뒤 유원지로 어수선하던 주변을 정화하였다.
[현황(조직,시설 현황 포함)]
용담교를 통해 강당골계곡을 건너면 바로 강당사에 이른다. 전체 대지 면적은 약 1,650㎡[500여 평]으로 큰 규모는 아니다. ‘ㄱ’ 자형의 관선재 건물을 요사채로 쓰고 있으며, 맞은편 문천사 건물 외에 대웅전과 2017년에 새로 지은 목판각 등이 있다. 대웅전에는 2002년 조성한 목조 석가여래삼존불상을 모시고 있다.
[관련 문화재]
강당사에는 외암선생문집판각이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33호로 지정되어 보관되어 있다. 외암선생문집판각은 외암 이간의 둘째 아들 이이병(李頤炳)이 이간의 글을 모아 『외암유고[외암집]』을 간행하기 위해 제작한 목판 307매이다. 관선재 건물에 보관해오다가 1999년 신축한 외암집판장에 보관하였고, 2017년에 목판각을 새로 짓고 옮겨 보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