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801289
한자 保寧 鑛山開發- 石炭産業合理化 政策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기획)
지역 충청남도 보령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필준

[정의]

충청남도 보령시에 일제 강점기와 8·15광복 이후 산업화 시대까지 존재했던 광업의 흥망성쇄.

[보령의 광산 개발]

조선 시대 광업은 대체로 억제되었지만, 1890년대 들어 외국자본에 의해 금광을 위주로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충청남도의 경우 1900년 일본인 아사노 소이치로[淺野總一郞]가 대한제국 궁내부와 교섭하여 직산금광 개발을 허가받으면서 광산 개발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충청남도의 금 생산은 직산금광을 중심으로 1910년대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하였으나, 1920년을 기점으로 크게 하락하였다. 1919년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나면서 전세계의 경기침체가 시작되었고, 물가가 하락하면서 금 수요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1920년대 중반부터 금 생산과 금광개발은 다시 활기를 띠었다. 물가하락에 따라 금 생산 비용이 줄어들었고, 저임금 노동력이 확보되었기 때문이다.

이 시기 보령 지역의 금광 또한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천북면 하만리, 낙동리, 청소면 죽림리, 성연리, 정전리, 재정리, 진죽리, 주포면 봉당리, 청라면 향천리, 웅천읍 대창리, 대천의 화산동, 남곡동 일대가 금광으로 개발되었다. 특히, 1929년 세계대공황이 발생하여 금값이 상승하고, 1931년 일본이 금 수출을 금지하자 조선 내 금값이 크게 상승하였다. 게다가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금 수요가 크게 늘었다. 국제 정세 불안에 따라 국제 거래 화폐로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국적으로 크고 작은 금광 개발이 활발하였다.

보령 또한 이 시기 금광 개발이 활발하였는데, 보령의 금광 개발은 소규모 금광이 여럿 개발되었다는 특징이 있었다. 보령의 금 생산량은 1940년과 1941년 186㎏을 기록하기도 하였는데, 천안산 금지대나 부여산 금지대만큼은 아니지만, 적지 않은 금이 생산되었다. 하지만 1945년 광복으로 인해 일본인 금광 경영자들이 빠져나가고, 1950년 6·25전쟁 등을 겪으면서 보령의 금광산업은 쇠퇴하여, 현재 운영되고 있는 금광은 전무하다.

[보령 석탄산업의 기원]

한편, 일본은 조선 내 지하자원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목적으로 1916년 충청남도 일대에 대한 지질조사를 실시하였다. 지질조사를 주도한 사람은 동경제국대학교 지질학과를 졸업하고 조선총독부 지질조사소장 겸 상공부 광무과장이었던 가와사키 시케타로[川崎繁太郞]였다. 가와사키 시케타로에 의해 충청남도 서부 지역의 일명 ‘충남탄전(忠南炭田)’이 확인되었다. 충남탄전은 충청남도 서남부 지역에 존재하는 무연탄전(無烟炭田)으로, 중생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탄전이다.

이후 1931년 동경제국대학교 이학부 지질과를 졸업하고 조선총독부 식산국 지질조사과에서 근무하던 시마무라 심페이[島村新兵衛]는 충청남도 일대의 탄맥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특히, 시마무라 심페이는 1931년 청양, 대천, 부여, 남포의 지질을 정밀 조사하고 보령 지역 퇴적층을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따라서 일제 강점기 보령 지역에 상당량의 석탄이 매장되어 있음이 알려지게 되었다.

하지만 석탄 매장 확인이 석탄광산 개발로 연결되지는 않았다. 당시 일본이 평남탄전, 삼척탄전과 같이 매장량이 더욱 풍부하고 탄질이 좋은 지역의 광산을 우선 개발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제 강점기 보령의 광업은 금광 중심이었으며, 석탄의 매장을 확인했지만 광산이 개발되었던 것은 아니었다.

보령 지역이 속한 충남탄전의 대동누층군 퇴적암층은 아미산층(峨嵋山層), 조계리층(造溪里層), 백운사층(白雲寺層), 성주리층(聖住里層)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가운데 아미산층, 조계리층, 백운사층은 내부에 석탄층을 가지고 있다. 각 지층마다 1~5매 정도의 석탄층이 확인되었으며, 모두 30여 매 탄층이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추정 매장량은 7,981.2만 톤이며, 가채량은 1,750.6만 톤으로 추정되었다.

지층 내 무연탄은 광학적(光學的)으로는 변성무연탄(變性無烟炭)에 해당하고, 화학적 분석에 의하면 국제 기준치보다 발열량과 수소함량이 낮은 편이다. 또 물리적으로는 착화온도가 높고 연소속도가 느려 산업용으로는 적합하지 않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일제 강점기 보령의 탄전은 개발순위에서 다른 질 좋은 석탄을 생산하는 지역에 밀렸으며, 조선총독부 당국은 충남탄전의 존재를 알고 있었지만 개발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보령의 탄광 개발]

보령의 탄광은 8·15광복 이후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산업화를 위해서는 자원이 필요했지만, 남한 지역에서 확인되는 연료 자원이 많지 않았기 때문이다. 보령 지역에서 가장 먼저 등록된 광산은 1947년 12월 27일 등록된 성주탄광(聖住炭鑛)이었다. 성주탄광은 현재의 보령시 미산면과 부여군 외산면에 걸쳐 있었지만, 광구 대부분이 보령의 성주리에 속했기 때문에 ‘성주’라는 이름을 사용하였다. 성주탄광에서는 흑연과 석탄이 채굴되었다. 또, 1949년 11월 16일 현재의 보령시 미산면, 청라면, 대천면에 걸쳐 있는 대천탄광(大川炭廣)이 등록되어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보령의 탄광 개발은 6·25전쟁 기간에도 계속되었으며, 전후에도 탄광 개발을 위한 정부, 미국 국제협력처, 국제연합재건단 등의 지원금이 투입되어 우선 개발되었다. 따라서 보령 지역의 탄광들은 각종 운반 및 채굴 장비, 기계 등을 마련할 수 있었고, 석탄 생산량을 늘리기 시작하였다.

보령 탄광의 본격적인 개발과 증산은 1960년부터 시작되었다. 5·16 군사 쿠데타 이후 산업화 정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1961년 12월 31일 ‘석탄개발임시조치법’이 제정되었다. 이 법에 따라 성주 지역의 탄광이 대단위 탄광인 ‘탄좌(炭座)’로 지정되어 수송 및 송전 시설 지원, 개발자금 융자, 법인세·소득세·영업세 면세 등의 각종 지원을 받았다. 보령의 탄광은 1980년대까지 적극 개발되였으며, 성주탄광과 같은 대단위 탄광은 1967년 대한석탄공사 직영으로 전환되기도 하였다. 1987년 보령에는 대한석탄공사 이외에도 삼풍, 영보, 원풍, 심원, 성림, 덕수, 옥마, 청곡, 한보, 세풍 등이 광업권을 등록하고 탄광을 개발, 운영하고 있었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는 것이 보령시 미산면성주면의 광업 종사자 인구 비율의 변화이다. 미산면은 1963년 전체 인구의 13.1%가 광업 종사 인구였는데, 1982년 21.3%, 1984년 22.2%를 기록하는 등 상승 추세였다. 미산면의 인구 중 광업 종사자의 비율은 1987년 27%를 기록하며 정점을 찍었다. 성주탄광이 있는 성주면의 비율 또한 미산면과 비슷하였다. 성주면은 1986년 25.8%, 1987년 34.8%를 기록하는 등 전체 인구의 1/3 이상이 광업에 종사하며 탄광촌을 형성하였다. 특히, 성주면 성주리에는 성주광업소를 1974년부터 위탁, 매입 운영하던 신성산업의 사택촌이 형성되어 취락이 발달하기도 하였다. 당시 탄광에서 일하면 일반 공무원 월급의 3배를 받을 수 있었기 때문에, 위험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몰려들었다.

[석탄산업합리화 정책]

1970년대 두 차례의 석유파동을 겪고, 한국 정부는 국내 무연탄 생산 극대화 정책을 펼쳤다. 그 결과 국내 무연탄 공급 가능량과 생산량은 꾸준히 증가하였다. 하지만 1987년을 기점으로 무연탄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기 시작하였다. 국제유가가 하향 안정화되면서 무연탄의 수요가 약화되었고, 국내 탄층이 점점 깊어지면서 생산비용이 증가하는 반면, 탄질은 저하되었다. 또한 재해비용과 임금이 상승하는 추세였지만, 생산량 10만 톤 미만의 영세탄광이 전체의 90.7%를 차지해 생산성을 높이기 어려웠다.

이에 정부는 국내 석탄산업의 근본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석탄산업합리화’ 정책을 펴기 시작하였다. 에너지 정책을 ‘주유종탄(主油從炭)’으로 바꾸면서 석탄 생산을 축소하기 시작한 것이다. 석탄의 과잉생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89년부터 영세탄광 폐광을 지원하고, 광업권, 조관권, 계속작업권을 소멸하도록 유도하였다.

석탄산업합리화 정책에 따른 폐광은 지역사회에 충격으로 작용하였다. 일자리가 사라지면서 실업자가 증가했고, 업종 전환에 따른 젊은층 전출이 늘어났다. 탄광촌 잔류자의 경우 실업률, 일용직 비율이 늘어나면서 노동시장의 질적 저하에 직면하였으며, 인구, 경제력 축소에 따른 탄광촌 지역사회 자체의 붕괴를 경험하게 되었다.

보령에서 운영되던 탄광들도 석탄산업합리화 정책을 피할 수 없었다. 탄광의 석탄 매장량 고갈, 심부화(深部化)[탄광이 점점 깊어지는 것], 질적 저하, 기간설비 노후화는 보편적으로 겪는 문제였기 때문이다. 연간 생산량 약 40만 톤으로 대형 탄광에 속했던 성주리 신성산업 또한 1986년부터 해마다 적자를 기록할 정도로 사정이 좋지 않았다. 결국 1989년 덕성광업사업소를 시작으로 폐광이 시작되어, 한 해 동안 성주면의 43개 탄광 중 17개소가 폐광되었다.

물론, 폐광에 대한 대책은 존재하였다. 운영되던 탄광 사업소의 근로자와 사업자가 폐광을 합의하면 석탄산업안정기금의 폐광대책비가 지급되었다. 또, 폐광에 따른 사회적 타격이 크다고 판단되면, 당시 탄광을 관할하던 동력자원부[현 산업통상자원부]에서 폐광을 허가하지 않기도 하였다. 폐광을 놓고 노사 갈등이 발생하기도 하였지만, 사회적 조류를 거스를 수는 없었다. 결국 보령의 탄광은 1989년부터 1994년까지 단계적으로 폐광되었다.

이에 따라 탄광촌이 급격하게 해체되었다. 성주면, 미산면의 인구가 가파르게 줄었으며, 광원주택, 사택, 생산설비 등이 폐허화되거나 방치되었다. 산 곳곳에는 광맥을 찾기 위한 구멍이 남아 있었고, 폐광의 갱도에서 오염수가 흘러나왔다. 결국 떠날 수 있는 사람은 모두 떠났고, 폐광된 탄광촌에는 노약자와 탄광에서 심각한 부상을 입은 이들이 남겨졌다. 탄광촌은 해체되었고, 성주면미산면은 침체에 빠졌다.

[보령시의 대책과 지역재생]

폐광이 이루어지면서, 탄광이 있었던 산지에서 각종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채탄 후 사후처리 미비로 인한 지반 침하의 위험성이 상존했고, 계곡에 버려진 폐석은 경관을 해쳤다. 또, 갱도에서 흘러나오는 오염수에는 각종 중금속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계곡, 개울, 지하수 등으로 오염수가 혼입되어 주민들의 건강을 위협하였다. 폐광된 탄광촌에 남은 이들을 위해 사회적 대책뿐만 아니라, 환경적 정비도 필요했던 것이다.

따라서 보령시는 폐광이 시작된 1989년부터 폐광 지역 환경개선사업을 실시하였다. 폐광 지역 일대에 대해 광해방지 사업, 산림복구 사업, 산사태 방지 사업 등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폐광 지역에 나무가 심어졌고, 폐석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체크 댐이 곳곳에 설치되었다. 또, 분진 제거, 오염수 유출 방지 등의 작업이 오늘날에도 계속되고 있어 지역주민들의 생활 환경을 개선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적 노력 외에도 지역사회를 유지하기 위한 사회적 노력도 진행 중이다. 정부에서는 폐광 지역 재생을 위해 1996년 ‘폐광지역개발지원 특별법 시행령’을 입법하고, 국가적인 지역재생 지원에 나서고 있다. 이 법에 의해 보령의 폐광 지역도 개발 제한이 해제되어 개발이 가능해졌다. 안전한 폐갱도를 이용하여 버섯재배 시설로 활용하고, 냉풍욕장으로 개발해 관광객을 불러모으기도 하였다. 또, 보령석탄박물관을 건립해 석탄산업에 대한 기억과 탄광촌의 장소성을 기억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희생자 위령탑을 건립하여 탄광에서 매몰되어 희생된 노동자들의 명복을 기리는 등 지역주민의 사회, 경제적 지속을 위해 노력하는 중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