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800025
한자 地形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서울특별시 강남구
집필자 소현수

[정의]

서울특별시 강남구 지역에서 나타나는 땅의 기복과 형태.

[개설]

지형은 해발 고도에 따라 산지·구릉지·평야·하천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판구조 이론으로 볼 때 동부 유라시아 판에 속하며, 대륙의 가장자리에 놓여 있어서 불안정한 환태평양 화산대에 위치하는 주변보다 비교적 안정된 지괴라고 할 수 있다. 강남구 지형은 한강의 침식과 퇴적 작용으로 인해서 기복이 적은 구릉지를 이룬다. 강남구를 북동 방향으로 관류하는 양재천을 기준으로 하여 충적층이 발달한 북부 저지대의 하천 퇴적 지형과 남부의 구릉성 산지 지형으로 나눌 수 있다. 하천 퇴적 지형은 양재천탄천이 합류하는 대치동 일대의 충적 지형이 대표적인데, 대부분 인공적으로 변형 또는 파괴된 상태이다. 또한 강남구에서 가장 높은 구룡산(九龍山)[306m] 정상과 최저 지점인 한강 하상(河床)의 고도차가 300m 이하이다. 이로 인해서 강남구는 기다란 네모꼴 지형 내부에 낮은 구릉들이 흩어져 있는 형상이다.

[강남구의 산지]

강남구는 산지의 발달이 미미한 편이지만, 북동동(北東東) 방향으로 연봉을 이루며 강남구 개포동서초구 내곡동의 자연적 경계를 형성하는 대모산구룡산(九龍山)[306m]이 구릉성 산지를 대표한다. 대모산은 할머니가 손자를 안고 있는 형국[노고포손형(老姑抱孫形)]이라고 ‘할미산’으로 불리다가 조선 3대 태종의 헌릉(獻陵)을 모신 후 세종의 명에 따라서 대모산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이밖에도 산 모양이 여승의 앉은 모습과 같다는 설과 여자의 가슴 모양과 같다고 하여 이름 붙여진 설이 있다. 구룡산포이동개포동의 경계에 위치하는데, 옛날 임신한 여인이 열 마리의 용이 하늘로 승천하는 것을 보고 놀라 소리를 지르는 바람에 한 마리가 떨어져 죽고 아홉 마리만 하늘로 올라가게 되면서 구룡산이라고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국수봉(國守峰)이라는 구룡산 주봉(主峰)의 이름은 조선 시대 이전부터 봉수대(烽燧臺)가 있어서 국가를 지킨다고 하여 붙여졌으며, 바위굴인 국수방(國守房)에서 봉수군(烽燧軍)이 기거했다고 한다. 구룡산에는 희귀한 물박달나무가 자라고 있으며, 과거에 세종대왕릉[英陵]이 있었으나 1469년(예종 1)에 경기도 여주시로 천장(遷葬)하였다.

[강남구의 고개]

국지적 산지 지형의 변화 형태가 고개인데, 고인고개·마고개·반고개·서낭당고개·밤고개 등 강남구에 분포하는 많은 고개가 대모산과 범바위산 자락의 세곡동 일대에 있다. 예전에 인적이 뜸하고 수목이 울창한 고개에서 호랑이·여우와 도적떼가 출몰하였기 때문에 지나가는 사람들이 무사히 고개를 넘게 해달라고 기원하는 서낭당이 있었다. 강남구에도 자곡동 서낭당고개싸리고개에 서낭당이 있었다. 또한 고개의 이름에서 당시 경관 적 특성을 알 수 있는데, 산골짜기 좌우로 논밭이 이어졌었다는 논고개, 싸리나무숲과 밤나무숲이 많았다는 싸리고개밤고개, 고인돌이 있었다는 고인고개 등이다. 이와 함께 전설과 관련된 마고개와 부산과 의주가 각각 천리씩이라는 반고개를 통해서 옛 사람들의 문화를 엿볼 수 있다.

[강남구의 평야]

우리나라의 평야 지형은 대규모 하천의 하류부에서 발달하는데, 서울특별시의 서쪽에 김포평야가 있으며, 동쪽은 한강 수계의 유역 평야로 이어진다. 양재천 북쪽에서 한강 변까지 분포되는 강남구의 평야는 기복이 적은 구릉이나 한강에 의한 범람원 형태이다. 강남구에는 해발 50m 이상인 지역이 20% 밖에 되지 않아서 시가지와 교통 발달에 유리한 지형 조건을 가지고 있다. 이에 구릉지 형태의 구룡산·대모산 북서쪽 기슭이나 양재천 인근의 평야지대는 일찍부터 취락이 발달하였으며, 인근 송파구·강동구와 더불어 강남구에도 한반도 선사문화 유적들이 분포하였다.

[강남구의 하천]

강남구에는 한강·탄천·양재천·세곡천이 있다. 탄천한강의 지류로서 경기도 용인시 구성면(駒城面) 청덕리(淸德里) 340m 고지 남서쪽 계곡에서 발원하여 흐르면서 장장포(長長浦)·검내[검천(儉川)]·탄천[숯내]라고 다르게 불린다. 탄천은 총 연장 35.6㎞에 달하는 준용 하천으로써 안양천과 비슷한 길이이다. 양재천은 강남구를 동북 방향으로 관류하는 하천으로써 탄천의 지류이다. 양재천의 옛 이름은 공수천이었으며, 사행 하도에 의해서 여울이 형성되어 백로가 날아들었기에 학여울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양재천 유로는 18.5㎞로써 원래 한강으로 직접 유입되었으나 탄천으로 강물이 범람하면서 유로가 변화되었다. 세곡천은 인릉산[326.5m] 아래 신흥마을 위쪽과 대모산 남쪽 헌릉과 인릉이 자리한 부근에서 발원한 두 개의 물줄기가 만나 탄천으로 유입된다. 서초구 내곡동에서 탄천과 합류되는 지점까지 세곡천의 연장은 3,140m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