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400499 |
---|---|
한자 | 四賢井 |
영어공식명칭 | Sahyeonjeong Well |
분야 | 생활·민속/생활,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지역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순흥로80번길 26[읍내리 261] |
시대 | 고려/고려 후기,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백지국 |
개축|증축 시기/일시 | 1545년 - 사현정비 건립 |
---|---|
개축|증축 시기/일시 | 1636년 - 사현정 중수 |
개축|증축 시기/일시 | 1821년 - 사현정 비각 건립 |
문화재 지정 일시 | 1986년 12월 11일 - 사현정 경상북도 기념물 제69호 지정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사현정 경상북도 기념물 재지정 |
현 소재지 | 사현정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순흥로80번길 26[읍내리 261] |
원소재지 | 사현정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순흥로80번길 26[읍내리 261] |
성격 | 우물|비석 |
양식 | 홑처마 맞배지붕[비각] |
관련 인물 | 안석|안축|안보|안집|안응창|안성연|주세붕 |
크기(높이,길이,둘레) | 우물[깊이 4m|높이 70㎝|폭 1m] |
문화재 지정 번호 | 경상북도 기념물 |
[정의]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읍내리에 있는 고려 후기 우물과 조선 전기 비석.
[개설]
사현정(四賢井)은 고려 후기 안석(安碩) 등 4명의 현인이 사용했다는 우물과 주세붕이 우물의 내력을 기재한 조선 전기의 비석을 가리킨다. 안석은 고려 후기 사람으로 충렬왕 때 문과에 급제하였지만, 관직에는 나아가지 않았다고 한다. 이후 봉익대부밀직제학에 제수되었다. 주세붕(周世鵬)[1495~1554]은 조선 전기 문신으로 풍기군수를 역임하였으며, 재임 중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인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현 소수서원(紹修書院)]을 설립하였다.
[건립 경위]
구전에 따르면 사현정은 고려 말 안석이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고 순흥 지역에 거처하며 세 아들 안축(安軸)[1282~1348]·안보(安輔)[1302~1357]·안집(安輯)을 키우면서 사용한 우물이라고 한다. 4명의 현인이 사용하였다 하여 ‘사현정’이라 불린다. 이후 1545년(인종 1) 풍기군수로였던 주세붕이 우물의 내력을 듣고, 그 덕을 기리기 위해 ‘사현정’이라고 쓴 비를 건립하였다. 사현정비 뒷면에 ‘사현정비음기(四賢井碑陰記)’가 새겨져 있다. 1636년(인조 14)에는 후손 안응창(安應昌)[1603~1680]이 비명을 쓰고 중수하였으며, 1821년(순조 21) 안성연(安性淵)이 사현정각을 세웠다.
[위치]
순흥면행정복지센터에서 동쪽으로 약 150m 떨어진 지점에 사현교가 있다. 사현교를 통해 죽계천을 건너 다시 50m가량 이동하면 우측에 사현정이 자리 잡고 있다.
[형태]
사현정의 깊이는 약 4m 정도이고, 지상 높이는 70㎝에 이른다. 폭 1m 정도의 화강암 각석을 활용해 지상 부분을 ‘井’자형으로 3단 조립해 놓았다. 사현정각은 정면 1칸, 측면 1칸의 홑처마 맞배지붕이다. 처마 아래 ‘사현정각(四賢井閣)’이라 쓴 현판이 걸려있다. 사현정각 안에는 1636년에 세워진 비석 1기가 있다. 앞면에는 ‘사현정(四賢井)’, 뒷면에는 ‘고려안선생석 생자 축 보 즉소위사현 차기구정 자식표용 시후…숭정병자립(高麗安先生碩生子軸輔輯卽所謂四賢此其舊井玆植表庸示後…崇禎丙子立)’이라 새겨 놓았다.
[현황]
사현정은 1986년 12월 11일 경상북도 기념물 제69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북도 기념물로 재지정되었다. 현재 우물을 사용하지 않아 판석으로 덮어두었으나, 주변 환경을 수시로 정비하고 있어 비교적 상태가 양호한 상태이다.
[의의와 평가]
사현정은 고려 후기 명현들의 유적으로 영주 지역의 유구한 역사를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