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400663 |
---|---|
한자 | 李瀣 |
영어공식명칭 | Lee Hae |
이칭/별칭 | 경명(景明),온계(溫溪),정민공(貞愍公)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경상북도 영주시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김순한 |
출생 시기/일시 | 1496년 - 이해 출생 |
---|---|
활동 시기/일시 | 1528년 - 이해 문과 급제 |
활동 시기/일시 | 1528년 - 이해 승문원부정자 제수 |
활동 시기/일시 | 1536년 - 이해 공조정랑·이조정랑 제수 |
활동 시기/일시 | 1544년 - 이해 사헌부대사헌 제수 |
활동 시기/일시 | 1546년 - 이해 장예원판결사 제수 |
활동 시기/일시 | 1549년 - 이해 동지중추부사 제수 |
활동 시기/일시 | 1550년 - 이해 한성부우윤 제수 |
몰년 시기/일시 | 1550년 - 이해 사망 |
추모 시기/일시 | 1691년 - 이해 이조판서 추증 및 '정민' 증시 |
추모 시기/일시 | 1714년 - 이해 삼봉서원 제향 |
출생지 | 이해 출생지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온혜리 |
거주|이주지 | 이해 거주지 - 경상북도 영주시 |
외가|처가 | 이해 처가 - 경상북도 영주시 |
묘소|단소 | 이해 묘소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온혜리 |
사당|배향지 | 삼봉서원 -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신암리 |
성격 | 문신 |
성별 | 남 |
본관 | 진성(眞城) |
대표 관직 | 이조정랑|사헌부대사헌|한성부우윤 |
[정의]
조선 전기 영주 지역에 거주한 문신.
[개설]
이해(李瀣)[1496~1550]는 이황(李滉)[1501~1570]의 형으로 문과 급제 후 이조정랑, 사헌부대사헌, 한성부우윤 등을 지냈다.
[가계]
이해의 본관은 진성(眞城), 자는 경명(景明), 호는 온계(溫溪), 시호는 정민(貞愍)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선산부사 이정(李禎), 할아버지는 진성군 이계양(李繼陽), 아버지는 진사 이식(李埴), 어머니는 사정을 지낸 박치(朴緇)의 딸 춘천박씨(春川朴氏)이다. 부인은 통례원가인의를 지낸 김복흥(金復興)의 딸 연안김씨(延安金氏)이다.
[활동 사항]
이해는 경상도 안동부 예안현 온계리(溫溪里)[지금의 안동시 도산면 온혜리]에서 출생하였다. 7세 때 아버지를 여의었으며, 작은아버지 이우(李堣)[1469~1517]에게 학문을 배웠다. 1528년(중종 23)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부정자로 관직 생활을 시작하게 된다. 1536년(중종 31) 공조정랑·이조정랑에 제수되었고, 1544년에는 사헌부대사헌에 올랐다. 1546년(명종 1) 황해도관찰사와 충청도관찰사를 지냈다. 1548년 동지중추부사, 1549년 청홍도관찰사, 1550년 한성부우윤이 되었다. 하지만 명종이 즉위하고 소윤 세력이 득세하면서 유배형에 처하게 된다.
이해는 권신 이기(李芑)[1476~1552]를 탄핵한 적이 있는데, 이때 이기의 심복인 이무강(李無彊)이 도리어 이해를 탄핵하였다. 이해는 유배 가던 도중 양주에서 세상을 떠났다. 경상도 영천군(榮川郡) 이산(伊山)은 이해의 처가가 있던 곳이었다. 이해는 혼인 후 과거에 급제할 때까지, 지금의 영주 지역에 머무르며 지역의 여러 학자와 교유하였다.
[학문과 저술]
이해는 동생 이황을 비롯해 남응룡(南應龍)[1514~1555]·홍섬(洪暹)[1504~1585]·안정(安珽)[1494~1548]·박충원(朴忠元)[1507~1581]·정사룡(鄭士龍)[1491~1570]·조사수(趙士秀)[1502~1558] 등과 교유하였다. 유고로 4권 3책의 『온계일고(溫溪逸稿)』가 전한다.
[묘소]
이해의 묘소는 안동시 도산면 온혜리에 있다.
[상훈과 추모]
이해는 1691년(숙종 17) 이조판서에 추증되었고, ‘정민’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1714년(숙종 40) 지금의 영주시 이산면 신암리에 있었던 삼봉서원(三峯書院)에 제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