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401295
한자 撫松軒集
영어공식명칭 Musongheonjip(Literary Work)
이칭/별칭 무송헌선생문집,문절공김선생일고,무송헌문집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정은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644년연표보기 - 『무송헌집』 초간본 간행
간행 시기/일시 1707년 - 『무송헌집』 중간본 간행
간행 시기/일시 1767년 - 『무송헌집』 삼간본 간행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6년 - 『무송헌집』 『한국문집총간』속1에 영인 수록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산60-1]
성격 시문집
저자 김담
간행자 김선|김만주|김방
권책 6권 3책
행자 10행 18자
규격 반곽: 가로 18.8㎝, 세로 15.3㎝|광곽: 가로 30.3㎝, 세로 20.5㎝
어미 상하향이엽화문어미
권수제 무송헌선생문집
판심제 무송헌선생문집

[정의]

1644년 초간된 조선 전기 영주 출신 문신인 김담의 시문집.

[개설]

『무송헌집(撫松軒集)』김담(金淡)[1416~1464]의 시문집으로 1644년(인조 22)에 초간되었다.

[저자]

김담의 자는 거원(巨源), 호는 무송헌(撫松軒), 본관은 예안(禮安)[선성(宣城)], 시호는 문절(文節)이다. 1435년(세종 17) 문과에 급제하여 집현전에서 활동하였으며, 이후 이조정랑·경주부윤·이조판서 등을 지냈다. 조선 역학의 기본이 되는 『칠정산외편(七政算外篇)』을 비롯해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 『칠정산외편정묘년교식가령(七政算外篇丁卯年交食假令)』, 『태양통궤(太陽通軌)』, 『태음통궤(太陰通軌)』 등 많은 천문 역서를 교정·편찬하였다. 영주 귀강서원(龜江書院)과 봉화 단계서원(丹溪書院)에 제향되었다.

[편찬/간행 경위]

『무송헌집』은 모두 네 차례에 걸쳐 간행되었다. 먼저 현손 김륵(金玏)김담의 시와 사적을 모아 두었으며, 이를 토대로 6대손 김선(金鍌)이 대책과 장현광(張顯光)이 쓴 신도비명을 추가하여 1644년 초간본을 간행하였다. 이어 1707년(숙종 33)에는 8대손 김만주(金萬柱)가 문집을 중간하였다. 1767년(영조 43)에는 10대손 김방(金埅)이 추가로 수습된 글들을 모아 문집을 삼간하였다. 사간본은 1937년 이후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서문이나 발문이 없어 간행의 주체와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다.

[형태/서지]

『무송헌집』은 6권 3책의 목판본으로, 표제·권수제·판심제가 모두 ‘무송헌선생문집’인데, 권수의 지(識) 판심제만 ‘문절공일고지(文節公逸稿識)’로 기재되어 있다. 규격은 반곽이 가로 18.8㎝, 세로 15.3㎝이며, 광곽은 가로 30.3㎝, 세로 20.5㎝이다. 테두리는 사주쌍변에 유계(有界)이며, 행자수는 10행 18자에 주는 쌍행이다. 어미는 상하향이엽화문어미(上下向二葉花紋魚尾)이다.

[구성/내용]

『무송헌집』 권수에는 김응조(金應祖)가 쓴 지와 목록이 수록되어 있으며, 권1은 시·송·전·소, 권2는 계사, 권3은 헌의·대책·잡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4~6은 부록으로 권4에는 어서(御書), 권용(權鎔)이 지은 행장, 장현광이 지은 신도비명, 장신(張璶)·권두인(權斗寅)·김만주가 지은 중간발 3편, 김방이 지은 삼간발이 수록되어 있으며, 권5~6은 연보이다. 한편, 사간본 권4 부록에는 사전(史傳), 5대손 김우익(金友益)이 지은 가장, 10대손 김위(金㙔)가 지은 묘지, 김담이 제향된 단계서원 관련 글들이 추가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무송헌집』김담의 행적과 학문뿐만 아니라, 조선 전기 관료들의 정세 인식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