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골에서 사육신 박팽년 선생의 절의 정신을 만나다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80034
한자 - 死六臣 朴彭年 先生- 節義 精神-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기획)
지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묘리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이병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456년 6월 7일 - 박팽년 사망
특기 사항 시기/일시 1691년 - 박팽년 관작 회복
특기 사항 시기/일시 1758년 - 박팽년 이조 판서에 증직
특기 사항 시기/일시 1791년 - 박팽년 『어정배식록』에 오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614년 - 달성 태고정 재건립
특기 사항 시기/일시 1778년 - 도곡재 건립
도곡재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육신사길 60[묘리 692]지도보기
달성 태고정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묘동3길 99[묘리 산13-10]지도보기
육신사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육신사길 64[묘리 640]지도보기
달성 삼가헌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묘덩4길 15[묘리 800]지도보기
하엽정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묘리
낙빈서원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묘리 795지도보기

[정의]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묘리 묘골의 순천 박씨들에 얽힌 이야기.

[개설]

묘골[竗谷]로 불리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묘리 묘동은 조선단종 때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인 박팽년(朴彭年)[1417~1456]의 후손들이 540년간 대를 이어 살아온 영남의 대표적인 양반 마을이다. 묘골은 세 개의 마을로 이루어져 있는데, 한 때는 70여 호나 되는 큰 집성촌이었다. 지금은 후손들이 도시와 인근 촌락으로 이주하여 살고 있다. 묘골에 대하여 미리 알고 찾으면 마음이 숙연해지는 마을이자, 이 시대의 진정한 충효(忠孝)가 무엇인지를 배울 수 있는 장소이다.

[불사이군(不事二君)의 높은 절의(節義)를 실천한 박중림·박팽년 부자(父子) ]

묘골의 순천 박씨(順天朴氏)는 견훤의 사위로 고려태조를 도와 개국 공신이 된 박영규(朴英規)를 시조로 하나, 그 뒤 계보를 잃어버려 후손들은 고려조에 보문각 대제학을 지낸 박숙정(朴淑貞)을 일세조로 하고 본관을 순천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 중시조인 박숙정은 이제현(李齊賢), 안축(安軸)과 사귀었으며, 고성의 사선정(四仙亭), 강릉의 경호정(鏡湖亭), 울진의 취운루(翠雲樓)를 모두 그가 창건했다고 한다. 유학자로 유명한 박중림(朴仲林)[?~1456]은 세종 때 문과를 거쳐 집현전(集賢殿)에 천거되었으며, 박중림의 문하에서 성삼문(成三問), 하위지(河緯地) 등 많은 인재가 배출되었다. 뒤에 이조 판서가 되어 단종 복위 운동에 아들 박팽년과 함께 참여했다가 참형을 당했으며, 시호는 문민(文愍)이다.

박팽년(朴彭年)[1417~1456]의 자는 인수(仁叟), 호는 취금헌(醉琴軒), 시호는 충정(忠正)이다. 1434년(세종 16) 급제하여, 1438년(세종 20)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하였으며, 1447년(세종 29)에 다시 급제하였다. 세종 때 신숙주(申叔舟)·최항(崔恒)·유성원(柳誠源)·이개(李塏)·하위지 등과 집현전의 관원이 되었다. 1453년(단종 1) 우승지를 거쳐 이듬해 형조 참판이 되었으며, 그 뒤 1455년(단종 3) 충청도 관찰사로 재직 중 수양 대군이 어린 조카인 단종의 왕위를 빼앗자 울분을 참지 못해 경회루(慶會樓) 연못에 뛰어들어 자살하려 하였다. 그러나 성삼문 등이 함께 후일을 도모하자고 만류해 단념했으며, 이때부터 죽음을 각오하고 단종 복위 운동을 펴기 시작하였다. 1455년(세조 1) 11월 내직인 형조 참판으로 다시 들어온 뒤 성삼문·하위지·이개·유성원·유응부(兪應孚)·김질(金礩) 등과 함께 은밀히 단종 복위 운동을 추진하였다.

1456년(세조 2) 5월 중추원 부사에 제수된 후인 1456년 6월 1일 세조가 상왕인 단종을 모시고 명나라 사신들을 위한 만찬회를 창덕궁(昌德宮)에서 열기로 하자 이날을 거사일로 정하였다. 이날 별운검(別雲劍)으로 성승(成勝)[성삼문의 아버지]·유응부(兪應孚)·박쟁(朴崝)이 되었기에 이들이 세조를 시해하기로 했지만, 장소가 좁다는 이유로 운검을 없앤 까닭에 뜻을 이루지 못하고, 후일에 세조가 관가(觀稼)할 때에 길 위에서 거사를 도모하기로 하였다. 하지만 6월 2일 함께 모의한 김질이 그의 장인 의정부 우찬성 정창손(鄭昌孫)과 더불어 세조에게 밀고하여 성삼문·박팽년 등의 모의자들이 체포되어 혹독한 국문을 받았다. 박팽년은 이미 성삼문이 잡혀가 모의 사실이 드러났음을 알고 떳떳하게 시인하였다. 그러나 세조가 그의 재주를 아까워하여 자신에게 귀부해 모의 사실을 숨기기만 하면 살려주겠다고 은밀히 유시하였지만, 박팽년은 이미 죽음을 각오한지라 웃음만 지을 뿐 대답을 하지 않았다.

박팽년은 세조를 가리켜 나으리[진사(進賜)]라 하며, 상감(上監)이라 부르지 않았다. 세조가 노하여 “그대가 나에게 이미 ‘신(臣)’이라고 칭했는데 지금 와서 비록 그렇게 부르지 않는다고 해서 무슨 소용이 있느냐?”고 하자, 그는 “나는 상왕(上王)[단종]의 신하이지 나으리의 신하는 아니므로 충청 감사로 있을 때에 한 번도 ‘신’자를 쓴 일이 없다”고 대답하였다. 세조는 박팽년이 충청 감사로 있을 때 올린 장계를 살펴보고 과연 ‘신’자가 하나도 없자 더욱 화를 내어 심한 고문을 가하면서 함께 모의한 자들을 말하라고 하였다. 박팽년은 서슴없이 성삼문·하위지·유성원·이개·김문기(金文起)[박팽년과 족친(族親)]·성승·박쟁·유응부·권자신(權自愼)·송석동(宋石同)·윤영손(尹令孫)·이휘(李徽)와 자신의 아버지 박중림이라 대답하였다.

박팽년은 심한 고문으로 6월 7일에 옥중에서 죽었는데, 의금부에서 박팽년의 시체를 거열형(車裂刑)에 처하고, 목을 베어 효수하고 시체를 팔도에 전하여 보일 것이며, 그 재산을 몰수하고 연좌된 자들도 아울러 율문에 의하여 처벌하도록 청하였다. 세조는 이에 친자식들은 모조리 교형(絞刑)에 처하고, 어미와 딸, 처첩(妻妾), 조손(祖孫), 형제(兄弟), 자매(姊妹)와 아들의 처첩 등은 변방의 관노비로 영구히 소속시키고, 큰아버지·작은아버지와 형제의 자식들은 먼 지방의 잔읍(殘邑)의 노비로 영원히 소속시키라고 명하였다. 그 중에서 나이 16세 미만인 자는 외방에 보수(保授)하였다가 나이 차기를 기다려 영속(永屬)하거나 안치(安置)시키게 하였다. 6월 8일에 박팽년의 시신과 아버지 박중림도 능지처사(凌遲處死)되고, 형제인 박인년(朴引年)·박기년(朴耆年)·박대년(朴大年)·박영년(朴永年)과 박팽년의 아들 박헌(朴憲)·박순(朴珣)·박분(朴奮)이 모두 처형되어 삼대(三代) 9명이 참화를 입었다. 이와 함께 박팽년의 어머니, 부인, 제수(弟嫂) 등도 대역부도(大逆不道)의 가족이라 하여 공신들의 노비로 끌려갔다.

단종 복위 운동이 있을 당시 나이가 어렸던 남효온(南孝溫)은 성장한 뒤에 이 사건의 많은 피화자 중 충절과 인품이 뛰어난 성삼문·박팽년·하위지·이개·유성원·유응부 등 여섯 사람을 골라 행적을 소상히 적어 후세에 남겼는데, 이것이 『추강집(秋江集)』의 「사육신전(死六臣傳)」이다. 그 이후 사육신은 조선 시대의 대표적인 충신으로 꼽혀왔으며, 그들의 신원(伸寃)을 위해 많은 사람들이 노력한 결과 1691년(숙종 17)에 이들의 관작이 회복되었다. 그 뒤 박팽년은 1758년(영조 34) 다시 자헌대부(資憲大夫)의 품계를 받아 이조 판서에 증직되었으며, 1791년(정조 15) 단종에 대한 충신들의 『어정배식록(御定配食錄)』에 올랐다. 그러나 삼대가 화를 입은 멸문(滅門)이어서 박팽년에 대한 자세한 행장이나 문집 등이 오늘날 전하지는 않고 있다. 다만 『추강집』의 「사육신전」이나 다른 글에 간헐적인 기록이 남아 있을 뿐이다.

박팽년은 집현전 학사로서 세종과 문종의 깊은 총애를 받았을 뿐 아니라, ‘집대성(集大成)’이라는 칭호를 받았다는 기록으로 보아 경국제세(經國濟世)의 명문(名文)이 많았을 것으로 추측된다. 특히 박중림·박팽년 부자는 단종이 왕위를 잃게 되자 두 임금을 섬길 수 없다는 대의(大義)를 위해 약속된 영화와 세조의 회유책을 감연히 거절하고 죽음과 멸문의 길로 거침없이 나아갔기에 오늘날에도 박중림·박팽년 부자의 높은 절의는 숭앙의 대상이 되고 있다.

박팽년의 묘는 서울 노량진의 사육신 묘역에 있다. 박팽년의 묘에는 '박씨지묘(朴氏之墓)'라는 글만 표석에 새겨져 있다. 그 이유에 대해 허적(許積)은 “성삼문 등 육신이 죽은 뒤에 한 의사(義士)가 그들의 시신을 거둬 이곳 강남[노량진] 기슭에 묻었으며, 무덤 앞에 돌을 세우되 감히 이름을 쓰지 못하고 그저 ‘아무개 성의 묘’라고만 새겨 놓았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사육신 묘역은 1978년 사육신 공원으로 단장되었으며, 사육신은 장릉(莊陵) 충신단(忠臣壇)에 배향되었다. 또한 대구 하빈의 낙빈 서원(洛濱書院) 등 여러 곳에 제향되었다.

[순천 박씨의 묘골 정착과 충절(忠節)의 본향으로 거듭나기]

박팽년의 후손들이 묘골에 정착하여 세상에 다시 이름을 알리기까지는 애달픈 사연이 숨어 있다. 박팽년은 정변으로 단종의 왕위를 찬탈한 수양 대군 세조를 상대로 단종 복위를 꾀하다가 성삼문·이개·유성원·하위지·유응부 등의 다른 충신들과 함께 삼대가 멸족을 당하는 화를 입었다. 그렇기에 사육신에게는 후손이 없다. 당시 죽임을 당한 박팽년 일가에 얽힌 애잔한 이야기가 전해 온다. 박팽년 형제들은 아버지 박중림과 죽음을 맞으면서 아버지에게 울며 고하기를 “임금에게 충성하려 하매 효에 어긋납니다”하니, 박중림은 “임금을 섬기는 데 충성하지 못하면 효가 아니다”라고 태연히 웃으면서 죽음을 맞이했다고 한다. 진정한 충과 효는 별개가 아님을 일깨워 주는 일화이다.

박팽년의 혈통이 이어진 것은 일가가 멸족될 당시 박팽년의 둘째 아들 박순의 아내 성주 이씨가 임신 중이었기 때문이다.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권4, 「단종조 고사 본말(端宗朝故事本末)」조에 의하면, 박팽년의 아들 박순의 아내 성주 이씨가 임신 중이었다. 성주 이씨의 아버지는 대구에 사는 교동 현감 이철근(李軼根)[혹은 이일근]이었는데, 성주 이씨가 자청해서 대구로 갔다고 한다. 당시 성주 이씨의 친정은 달성군 하빈면 묘리에 있었기에 그곳과 가까운 인근의 대구 관비로 자청해 갔던 것이다. 이때 조정에서 명하기를 아들을 낳거든 죽이고, 딸이라면 관비로 삼으라는 세조의 명이 있었다고 하였는데, 당시 박팽년의 여종 또한 임신 중이었다. 여종이 스스로 생각해보니 주인이 딸을 낳으면 다행이지만, 자신과 똑같이 아들을 낳더라도 자신이 낳은 자식으로 대신 죽게 하겠다고 다짐하였다고 한다. 해산을 하니 성주 이씨는 아들을 낳고, 여종은 딸을 낳았다. 이에 서로 바꾸어서 여종이 자기의 자식으로 삼고, 이름을 ‘박씨 성을 가진 노비’라는 뜻으로 박비(朴婢)[朴斐]라고 지었다고 한다. 아들을 노비로 둔갑시켜 혈통을 보존한 것이다.

조선 후기 실학자 이덕무(李德懋)는 이 일을 자신의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에 기록하며 "평소 긴 수염을 늘어뜨리며 높은 관(冠)을 쓰고 대장부로 자처하다가도 어려움에 다다라서는 이 여종만도 못한 자가 그 얼마나 많았던가? 내가 여기에 절실히 느껴지는 바가 있어 그녀[여종]의 알려지지 않은 덕을 드러내는 것이다"라고 했다.

『선조실록(宣祖實錄)』권161, 1603년(선조 36) 4월 21일의 기록에 “박충후는 문종조의 충신 박팽년의 후손이다. 세조가 육신을 모두 주살(誅殺)한 뒤에, 박팽년의 손자 박비는 유복자이었기에 죽음을 면하게 된 것이다. 갓 낳았을 적에 당시의 현명한 사람을 힘입어 딸을 낳았다고 속여서 말을 하고 이름을 비(斐)라고 했으며, 죄인들을 점검할 때마다 슬쩍 계집종으로 대신하곤 함으로써 홀로 화를 모면하여 제사가 끊어지지 않게 되었다. 박충후는 곧 그의 증손으로서 육신들 중에 유독 박팽년만 후손이 있게 된 것이다”라고 하였다.

『연려실기술』의 내용과 비교하여 유복자였던 것은 분명하며, 현명한 사람에 힘입어 딸을 낳았다고 속인 후 이름을 비(斐)라 하였고, 죄인들을 점검할 때마다 슬적 계집종으로 대신하여 홀로 화를 모면하였다고 했다. 이것은 여종의 딸과 바꿔치기 했다는 기록과 비교가 된다. 즉 성주 이씨가 박비를 계속 양육하고 있었다고도 보여진다. 이름도 비(斐)와 비(婢)라고 차이점이 있다. 여하튼 박팽년의 손자 박비가 세상에 드러나게 된 과정은 『연려실기술』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이를 보면 박비가 장성한 뒤 성종조 때에 박순의 동서였던 이극균(李克均)이 경상도 감사로 와서 박비를 불러서 보고 눈물을 흘리며 자수하도록 권유하자, 성종을 찾아가 박팽년의 자손임을 실토하였고 이에 성종이 특별히 용서하고 이름을 일산(壹珊)으로 내려주었다고 전한다.

박비가 자수한 때는 1472년(성종 3)으로 박비가 17세 되던 해였다. 당시 이극균은 경상 우도 병마절도사[1469~1472]로 부임해 있었는데, 처가인 하빈면 묘골성주 이씨 집안에 왔다가 박비의 생존 사실과 그 사연을 알게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에 세조도 이미 세상을 떠났기에 자수를 권유하였던 것이다. 박비를 접견한 성종은 크게 기뻐하면서 특사령을 내리는 동시에 이름도 사육신의 후손 중 유일하게 남은 자이기에 ‘오직 하나뿐인 보석같이 귀한 존재’라는 뜻으로 박일산(朴壹珊)이란 이름을 내려 주었던 것이다.

『연려실기술』에는 박일산의 어머니 성주 이씨에 대하여 ‘관비가 되어서 수절하며 평생을 마쳤다’고 하여 충신의 며느리로서 아들 박일산을 양육하며, 절개를 지키고 살았음을 특별히 칭송하여 기록하였다. 이후 박팽년의 손자 박일산은 묘골순천 박씨 충정공파 입향조가 되었으며, 자손이 없던 외가의 재산을 물려받아 99칸의 종택을 짓고 묘골에 정착하게 되었다. 이리하여 은둔의 세월은 막을 내리고 묘골이 충절의 본향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으며, 박일산의 후손들 중 현달(顯達)한 자들이 많이 나타나면서 묘골순천 박씨는 대구를 대표하는 양반 사족으로 성장하였다.

[묘골의 전통을 확인할 수 있는 문화유산]

묘골에는 묘골 박씨들의 전통을 자랑하는 육신사(六臣祠)와 달성 태고정(太古亭), 도곡재(陶谷齋), 달성 삼가헌(三可軒)과 하엽정(荷葉亭) 등의 문화유산이 위치해 있다.

육신사는 사육신의 혼령을 모시는 사당인데, 육신사가 묘골에 자리 잡은 데도 그만한 이유가 있다. 묘골에는 박팽년의 손자인 박일산이 할아버지의 절의를 기리며 제사를 지내던 ‘절의묘(節義廟)’라는 사당이 있었다. 세월이 흘러 박팽년의 현손(玄孫)인 박계창(朴繼昌)이 고조할아버지인 박팽년의 제사를 모신 후 잠을 자는데, 꿈에 박팽년과 함께 죽음을 당한 다른 다섯 분의 충신들이 굶주린 배를 안고 사당 밖에서 서성거리는 것을 보았다. 깜짝 놀라 일어나 다섯 분의 제물도 함께 차려 다시 제사를 지냈는데, 다른 충신들은 제사 지내 줄 자손이 없으니 대신 제사를 지내준 것이다. 그 후부터는 ‘하빈사(河濱祠)’라는 사당을 지어 사육신을 함께 배향하게 되었다고 전한다.

하빈사는 1694년(숙종 20)에 낙빈 서원으로 사액되었다가 1866년(고종 6)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문을 닫았지만, 1924년에 재건하여 다시 사육신을 봉안하게 되었다. 1974년 '충효 위인 유적 정화 사업'에 의해 현재의 위치에 육신사가 건립되었고, 1981년에 나머지 건물을 보완하였다. 그런데 육신사에 가면 출입구인 외삼문에는 ‘육신사’라는 현판이 붙었지만 정작 사당에는 ‘숭정사(崇正祠)’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이는 사당에 사육신 외에 박팽년의 아버지인 박중림의 위패도 함께 모시고 있기 때문이다.

육신사 외에도 묘골에는 박팽년 후손들의 손길을 느낄 수 있는 오랜 건축 문화유산들이 많다. 그 대표적인 것이 달성 태고정도곡재이다. 보물로 지정된 달성 태고정은 1479년(성종 10) 박팽년의 손자인 박일산이 99칸 집을 짓고 살 때 세운 정자 건물이다. 지금 육신사 경내에 있는 건물은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불타서 일부만 남았던 것을 1614년(광해군 6)에 다시 지은 것이다. 네모진 기단 위에 앞면 네 칸, 옆면 두 칸 크기로 세웠다. 동쪽 두 칸은 대청마루이고, 서쪽 두 칸은 방으로 꾸몄다. 서쪽 방에는 아궁이만 설치한 것이 아니라 정자 건물에서는 보기 드물게 뒤쪽 구석에 자그마한 부엌을 꾸며 놓아 아기자기함을 더해 준다.

달성 태고정의 또 다른 묘미는 지붕에 있다. 지붕을 살펴보면 동쪽은 팔작지붕이요 서쪽은 맞배지붕에 부섭지붕을 달아내어 마감하였다. 부섭지붕이란 서까래의 윗머리를 다른 벽에 고정시켜 퇴를 달아낸 지붕을 말한다. 태고정은 맞배지붕의 합각에 서까래의 윗머리를 고정시키고 지붕을 달아내었는데, 지붕 아래에는 방과 부엌을 꾸며 놓았다. 전체적으로는 단조로우면서도 뜯어보면 아기자기함을 엿보게 하는 건축 방법을 사용하였다.

도곡재는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1778년(정조2)에 대사성(大司成)을 역임했던 서정공(西亭公) 박문현(朴文鉉)의 살림집으로 건립하였다. 1800년대에 와서 도곡(陶谷) 박종우(朴宗佑)의 재실로 사용되면서, 박종우의 호를 따서 도곡재라 불렀다. 박종우는 인조 때의 사람으로 문장이 뛰어났으며 절의와 덕행을 모두 갖추어 동방의 일인자라 칭송받았지만 병자호란 때 전사하였다. 도곡재달성 태고정의 건축 수법을 흉내 내려고 노력한 건물이다. 이 건물은 본래 일반 민가와 비슷하였다. 집을 짓고 난 뒤 개축하면서 달성 태고정처럼 안채와 사랑채에 부섭지붕을 달아내었다. 사랑채 부섭지붕 아래에는 대청을 연이어 높은 다락집처럼 꾸며 놓았다. 안채 부섭지붕은 초가이다. 한옥은 퇴를 빼고 칸을 달아내어 변화를 주어도 또 다른 아름다움을 안겨주는 미완성의 건축이라는 사실을 새삼 일깨워주고 있다.

중요 민속 문화재인 달성 삼가헌은 묘골 마을과 낮은 산을 경계로 하여 박팽년의 11대손인 이조 참판 삼가헌(三可軒) 박성수(朴聖洙)[1735~1810]가 1769년(영조 45)에 초가를 건립하여 자신의 호를 따서 ‘삼가헌’이라는 편액을 걸었으며, 1770년에는 파산 서당(巴山書堂)을 건립하였다. 아들 박광석이 처음 지었던 초가를 허물고 1809년에 안채를, 1826년에 사랑채를 지었다. 사랑채 당호인 ‘삼가헌’은 박성수의 호로서『중용(中庸)』에서 “천하의 국가를 바르게 할 수 있고, 벼슬과 녹봉을 사양할 수 있으며, 날카로운 칼날도 밟을 수 있지만, 중용은 능히 할 수가 없다”는 공자의 탄식에서 유래하였다. 선비가 갖추어야 할 세 가지 덕목이라는 뜻이다. 1874년 박광석의 손자 박규현이 파산 서당으로 사용하던 건물에 누마루를 부설하여 별당채를 짓고 ‘하엽정(荷葉亭)’이라는 현판을 달았다. 정자 앞의 연당(蓮塘)도 이때 만들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