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000032
한자 佛敎
분야 종교/불교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경기도 포천시
집필자 여성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648년 - 청암, 백운사 암자인 보문암을 창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681년 - 묘화당 부도 건립
특기 사항 시기/일시 1688년 - 승려 여환의 미륵 혁명 운동에 영평 출신이 다수 참가
특기 사항 시기/일시 1786년 - 태천이 내원사를 중수하고 절 이름을 백운사라고 고침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24년 08월 31일 - 이동면 도평리 밭에서 석가모니불과 지장 보살상 발견

[정의]

경기도 포천시에서 석가모니를 교조로 하여 활동하는 종교.

[불교의 전파와 발전]

경기도 포천시는 동으로 백운산-청계산을 경계로 경기도 가평군과, 서로는 지장산-소요산-국사봉-왕방산-해룡산을 경계로 경기도 연천군·경기도 동두천시·경기도 양주시와, 북으로 명성산-광덕산-백운산을 경계로 강원도 철원군·강원도 화천군과 각각 접경하고 있는 전형적인 산 지형 내륙 지역이다. 따라서 산이 많아 불교문화가 성행했을 것으로 생각되나, 현재 불교 교세는 매우 약한 편이다.

경기도 포천지역이 한국의 불교사에 최초로 등장하는 것은 9세기 후반 농민 봉기가 전국적으로 폭발하던 통일 신라에서 ‘미륵불왕’을 자처하며 민중을 규합했던 태봉의 궁예(弓裔)를 통해서였던 것 같다. 구읍리 석불 입상과 미륵불상은 고려 양식을 띠고 있지만 미륵불을 자처하며 불력을 빌어 권위를 유지하려던 궁예와 무관하지는 않을 듯싶다.

궁예와 함께 주목되는 인물은 도선(道詵)이다. 도선 국사백운산왕방산에 사찰을 창건했다는 설화가 있다. 고려 태조도선은 나무로 만든 세 마리의 새를 날려 보냈고, 그 중 한 마리가 내려앉은 백운산에 내원사(內院寺)[지금의 흥룡사]를 창건했다고 한다. 또한 왕방산에도 사찰을 창건했다. 신라 국왕이 행차했다고 해서 왕방산이란 이름이 붙여졌고 절 이름이 또한 왕방사라고 했다고 한다. 포천과 도선의 관련성이 설화 형태로 전하고 있어 모두 사실로 받아들이기는 어렵지만, 이때 불교가 수용되었던 것은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 고려 시대에 들어 미륵 신앙과 풍수 도참사상이 성행하여 많은 불상이 만들어졌고 사찰도 다수 창건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 시대에 들어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1530년]에 기록된 현 포천 지역의 사찰에는 포천현수원산 수원사(水源寺), 향적산 안양사(安養寺)·향적사(香積寺), 해룡산 해룡사(海龍寺), 주엽산 성불사(成佛寺) 등과 영평현백운산 백운사(白雲寺)[지금의 흥룡사], 청계산 원통사(圓通寺), 보장산 보장사(寶藏寺) 등이 있다. 『견성지(堅城誌)』[1758년]에는 천주산 신륵사, 수원산 옥금사[폐사], 수원산 수원사[폐사], 주금산 안양사[폐사], 향적산 향적사[폐사], 해룡산 해룡사[혹 안국사, 폐사], 주엽산 성불사[혹 요봉사, 폐사], 천주산 두문사(斗文寺)[폐사] 등 8개의 사찰이 기록되어 있다. 『흥룡사』에 1700년 전 백운산 근방에 절이 많았다는 기록이 전하는 것으로 보아 백운산 일대가 가장 번성했던 것으로 보인다.

1924년 8월 31일 도평리 백운동 거주 윤만명(尹萬明)이 철로 만든 4척 5촌 크기의 석가모니불과 3척 5촌 크기의 지장 보살상을 밭에서 발견하였다. 「백운산 내원사 사적(白雲山內院寺史蹟)」[1706년]에 따르면, 서산 대사의 법맥을 이은 무영 이름 대사의 제자 지혜(智惠)가 옛 절터에 백 수십 칸 규모의 선원을 창건[1639년]하고 상선암으로 명명했다고 한다. 17세기 중엽 백운사에는 풍담(楓潭)이 머물며 많은 제자를 가르치고 있었는데, 그 중에 이후 호남 지방에서 불교를 크게 밝힌 설제(雪霽)도 있었다.

1648년 청암이 백운사 암자인 보문암을 세웠는데, 1681년 건립된 묘화당 영연(妙化堂灵燕) 부도[포천시 향토 유적 제35호]를 보면 그 역시 이곳에서 전법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백운사는 1922년 설하가 중수한 후 흥룡사로 개칭되었다. 금주산은 자식 없는 부인들의 기도처로 유명한 곳이었다. 그래서 기도하는 사람이 끊이지 않았고, 백일기도 또는 심지어 몇 년씩 기도하는 아낙네도 있었다고 한다.

[읍면별 사찰 및 불교 유적]

1. 소흘읍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소재의 절터에는 무봉리 절터가 있다. 현재 경작지와 묘목장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신증동국여지승람』의 향적사로 추정된다. 현재 등록된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지역의 사찰에는 고모리의 석천사[조계종]·보문정사[삼론종]·보현사, 무림리의 재성사[태고종], 무봉리의 향적사[조계종]·길상사, 이동교리의 천은사[관음종]·도원사[법화종], 직동리의 만덕사[태고종] 등이 있으며 그 외에 용궁사, 쌍불사 등이 있다.

2. 군내면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소재의 절터에는 구읍리 절터가 있다. 석불이 남아있으며, 석불 중심으로 석축이 잔존한다. 2012년 5월 31일 현재 등록된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지역의 사찰은 모두 9개로 구읍리의 용화사[조계종], 명산리의 화엄사[조계종], 상성북리의 홍련암[조계종], 직두리의 미타사[정토종]·성주사[조계종]·대해사[태고종]·자비사[조계종] 등이다. 그 외에 달마사, 살상사 등이 있다.

유적에는 구읍리 석불 입상[향토 유적 제5호]과 구읍리 미륵불상[향토 유적 제6호]이 있다. 석불 입상은 포천 향교 뒤쪽 언덕에 위치하고 있으나, 원래의 위치인지 확실치 않다. 제작 시기는 고려 중기 이전으로 추정되며, 마을에서 미륵불이라고 불린다. 미륵 불상은 현재 용화사 법당 내에 봉안되어 있으며, 고려 시대의 전형적인 거석불의 모습을 하고 있다.

3. 내촌면

경기도 포천시 내촌면 소재의 절터에는 음현리 절터가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의 안양사로 추정되고 있으며, 18세기 후반 이전에 폐사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 후기 양식의 석조 부도가 있었다고 하나 현재 인근 민가로 옮겨져 있다. 2013년 1월 1일 현재 법화사, 법왕사, 약천사, 기장 선원 등 4곳이 경기도 포천시 내촌면의 사찰로 등록되어 있다.

4. 가산면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소재의 절터에는 금현리 절터[혹은 죽엽산 절터]가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의 성불사로 추정되고 있으며, 『문화 유적 총람』에 간략한 조사 내용이 보고되고 있다. 2011년 1월 1일 현재 등록된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의 사찰에는 마전리의 성광 미륵사[일붕종]·전운사[보문종], 방축리의 화봉사[법화종]·성불암[조계종] 등 4곳이다.

5. 신북면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소재의 절터에는 고일리 절터가 있다. 현재 경작지로 이용되고 있다. 2013년 1월 1일 현재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가채리의 법성사[정토종], 기지리의 기원 정사[태고종], 신평리의 일신사[태고종] 등 3곳이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지역의 사찰로 등록되어 있다.

7. 창수면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 소재의 절터에는 주원리 절취미 절터추동리 절터가 있다. 절취미 절의 유래 및 연혁은 미상이다. 현재 경작지로 이용되고 있다. 추동리 절터청해사 뒷편의 경작지 일대와 한나 기도원 일대 등 2곳으로 조사되었다. 현재 등록된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의 사찰에는 가양리의 청봉사[미타종]·약수암[법륜종], 주원리의 다보 정사[조계종]가 있고, 이밖에 지혜사도 있다.

8. 영중면

현재 등록된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의 사찰에는 거사리마태사[조계종], 금주리의 금강사[조계종]·금룡사, 영송리의 성덕사·반야사[대승종] 등이 있다. 유물에는 영평 석조 여래 입상이 있다.

9. 일동면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의 절터에는 길명리 절터가 있다. 군 훈련장으로 이용되면서 현재 원형이 일부 훼손되었다. 현재 등록된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의 사찰에는 기산리의 대덕사[태고종]·대원사[법화종]·일심암[총화종], 길명리의 금덕사, 유동리원통사[조계종] 등이 있으며 이 밖에 청계대원사, 반야사 등이 있다.

10. 이동면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의 절터는 선적사 터, 상선암 터, 도평리 절터 등이 조사되었다. 선적사 터에는 1942년 당시 3층 석탑이 있었으나, 현재 경작지에 옥개석 1기만이 남아있다. 2010년에 조사할 때 연화 대좌 부재 주변에서 납 구슬 4개가 수습되었다. 국립 문화재 연구소에서 정밀 분석 중이다. 상선암은 1639년(인조 17) 무영(無影) 이름(頤凜)이 폐사지에 중창한 것이라고 한다. 원래 무영의 부도가 있었으나 1950년대 후반 행방을 알 수 없게 되었다. 도평리 절터에는 인근 지명에 ‘약사골’, ‘약사령’이 있는 점으로 미루어 보아 ‘약사(藥寺)’가 있었다고 추정되고 있다. 주민의 말에 따르면, 1950년대 개간 시 약 5㎏ 정도의 철제 손이 출토되었다고 하니, 이 불상의 규모를 짐작할 수 있게 한다.

현재 등록된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의 사찰에는 노곡리의 팔정사[군법당]·호국 금강사[군법당], 도평리흥룡사[조계종]·보문사[조계종], 연곡리의 백련사[태고종]·구담사[조계종], 장암리의 태극사[태고종]·동화사[조계종] 등이 있으며 이 밖에 수원사, 국봉사, 천명사, 와룡암, 도인 정사 등이 있다. 유물에는 흥룡사 묘화당 부도[포천시 향토 유적 제35호]와 흥룡사 청암 부도가 있고 동화사 목조불 좌상[경기도 유형 문화재 제220호]도 있다.

11. 영북면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의 절터에는 자일리 절터가 있으며, 현재 등록된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의 사찰에는 산정리자인사[원효종], 소회산리의 본선사[삼론종], 야미리의 무량 성불사[법화종], 운천리의 보현 선원[선학원]·통도사[태고종]·극락사[태고종]·문수사[조계종]·봉운사[조계종] 등이 있고 이밖에 관음사가 있다.

12. 관인면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 소재의 절터에는 초과리 절터신흥사 터가 있다. 초과리 절터에서 출토된 약사여래 좌상은 현재 풍림 농장에 안치되어 있다. 신흥사 터에서도 석조 여래 좌상이 출토되었는데, 이 좌상은 고려 시대 작품으로 추정되며, 근래 세워진 신흥사에 봉안되어 있다. 현재 등록된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의 사찰에는 냉정리의 관인사[본원종]와 중리신흥사[ 본원종]가 있으며 이 밖에 정혜사가 있다.

13. 화현면

현재 경기도 포천시 화현면의 등록된 사찰에는 화현리의 삼불사[ 태고종], 화현 2리의 운학사[ 일승종], 화현 5리의 구연사, 화현 6리의 운주사[대승종] 등이 있으며 이 밖에 대원사, 용화사, 관음사, 도성사 등이 있다.

14. 포천동

경기도 포천시 포천동 소재의 절터에는 왕방산 절터가 있다. 절터에는 어룡동 석조여래 입상[경기도 유형 문화재 제155호] 1구가 현존하고 있다. 이 밖에 함허 기화(己和)[1376-1433]의 시를 보면, 왕방산에 낙도암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등록된 경기도 포천시 포천동의 사찰에는 어룡동의 선광사·약사암, 신읍동의 보덕사[조계종] 등이 있다.

15. 선단동

경기도 포천시 선단동 소재의 절터에는 선단동 절터, 설운동 해룡산 절터가 있다. 해룡산 절터에 있던 사찰은 해룡사로 추정되며, 이후 안국사(安國寺)로 바뀌었다. 현재 등록된 경기도 포천시 선단동의 사찰에는 동교동의 약왕사[태고종], 자작동의 불이사[군법당]·천지암·강신사 등이 있다.

[포천 불교문화의 특징]

첫째, 창건 연대가 오래된 고찰이 거의 없다. 시기적으로 고려 시대에 창건된 사찰이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조선 시대와 6·25 전쟁으로 거의 폐사되었다. 현재 90여 개의 사찰이 있다. 이중 백운산 흥룡사, 왕방산 왕산사, 원통산 원통사가 전통사찰이며 모두 대한 불교 조계종 제25 교구 본사인 봉선사의 말사이다. 그 나머지는 거의 신생 사찰과 사설 암자이며, 수려한 산수를 배경으로 포천시민과 인근 의정부나 서울에 거주하는 도시민의 기도처 역할을 하고 있다.

지역별로 이동면에 가장 많고, 소흘읍이 그 다음으로 많다. 종단별로 보면 관음종, 대승종, 미타종, 법륜종, 법화종, 보문종, 본원종, 본원종, 삼론종, 선학원, 원효종, 일붕종, 정토종, 조계종, 총화종, 태고종 등이 있으며 조계종, 태고종, 법화종의 순으로 많다. 조계종 사찰은 대부분 대한 불교 조계종 제25 교구 본사인 봉선사의 말사이다. 군부대 밀접 지역으로 군법당도 3개소가 있다.

둘째, 포천 지역 불교 사찰의 창건 연대가 대부분 최근이고 과거 포천의 불교에 관해 알 수 있는 자료가 거의 없기 때문에 포천 불교의 역사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는 어렵다. 남북 분단과 6·25 전쟁으로 그때까지 명맥을 유지하던 사찰도 소실되거나 파괴되었다. 창건 연대가 확인되는 고찰은 흥룡사 하나뿐이며, 기도처로 있다가 최근에 와서 사찰의 면모를 갖춘 금룡사가 있는 정도이다.

수려한 산수를 배경으로 가진 포천의 지리적 특성에 비해 불교문화가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은 의외가 아닐 수 없다. 그 연유를 추측해보면 일찍부터 포천 지역에 반촌이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유교 문화가 강하게 뿌리를 내렸다는 점과 그나마 풍수 관념과 결부된 불교 사찰 문화 역시 조선 후기에 들어 쇠퇴하여 민간 신앙화했다는 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신생 사찰 및 사설 암자가 대다수를 차지한다. 그 창건 경위도 인생의 큰 굴곡을 겪은 여 보살이 불교에 귀의하면서 서원으로 사찰을 세웠거나 관음, 지장, 미륵 신앙 등을 바탕으로 유명한 기도처를 기도 도량으로 만드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나이 많은 여 보살이 대부분의 신도층을 형성하고 있으며 점복 등을 겸하는 사설암자도 많다. 포천 지역의 불교는 과거 전통 사회와의 문화적 동질성을 바탕으로 향후 포천의 지역 사회 발전에 나름대로 기여할 여지를 많이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넷째, 경기도 포천 지역은 역사적으로 미륵 신앙과 지장 신앙이 성행했던 곳으로 보인다. 포천 지역이 궁예의 세력 아래에 있었기 때문에 미륵 신앙이 깊이 자리 잡을 수 있었다. 삶의 애환을 새 세상에 대한 희망으로 바꾸려 했던 1688년(숙종 14) 승려 여환(呂還)의 미륵 혁명 운동에 영평 출신이 다수 참가하고 있었다는 점에서도 민중 속에 미륵 신앙이 깊이 투입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또한 보개산[지장산]은 대표적인 지장보살의 상주처로서 포천 지역에서 지장 신앙이 성행했음을 짐작해 볼 수 있게 한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관** "이선희" 님의 글은 서비스 정책에 맞지 않아 삭제되었습니다. 2014.07.04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