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양주문화대전 > 양주향토문화백과 > 삶의 자취(문화유산) > 기록유산 > 문서
-
경기도 양주 지역에 전해지는 옛 문서. 사전적인 의미에서 고문서(古文書)는 1910년 이전의 문서를 의미한다. 1910년 이후의 문서는 근대 문서로 정의된다. 현재 양주 지역에 전해지는 고문서를 보면, 수원 백씨 문중에 유서(諭書) 4건, 교지(敎旨) 88건 등, 부여 서씨 문중에 백패(白牌)·홍패(紅牌) 2건, 교지 36건 등, 충주 최씨 문중에 교지 20건 등이다. 이밖에 안민...
-
1894년 경기도 양주를 비롯한 36개 읍의 세금 징수 대상을 기록한 자료. 「경기 각읍 신정 사례(京畿各邑新定事例)」는 1894년 10월 승총(陞總)[세금 징수 대상에서 빠진 토지 내역을 조사해 장부에 등록하는 일]에 따라 새롭게 정해진 경기도 각 읍(邑)·진(鎭)의 세금 징수 대상을 파악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현재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규15234]. 필사본. 2책. 크기는...
-
1905년 양주군에 있던 내수사(內需司)의 장토 현황을 기록한 토지 대장. 「경기도 양주군 소재 내수사 장토 사검 개타 양안(京畿道楊州郡所在內需司庄土査檢改打量案)」은 1905년(고종 42) 2월 경기도 양주군에서 백석면·광석면 등에 있는 내수사의 장토(庄土)를 측량해 중앙에 보고한 토지 대장이다. 보고자는 양주군수인 홍태윤(洪泰潤)이고, 검사자는 현상국(玄相國)이었다. 현재 규장각...
-
조선 전기에 편찬된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중 양주도호부[지금의 경기도 양주시]에 해당하는 부분. 『세종실록지리지』는 1424년(세종 6) 편찬에 착수하여 1454년(단종 2) 총 8책 7권[권 149~155] 분량으로 완성되었는데, 이 중 「세종실록지리지 양주도호부」 부분은 제1책 권149에 수록되어 있다. 양주도호부는 오늘날의 경기도 연천시·양주시·의정부시·동두천시·...
-
1899년 경기도 양주군에 있는 궁내부 소유의 둔토 현황을 기록한 문서. 「양주군 궁내부 소관 각 둔토 사검안(楊州君宮內府所管各屯土査檢案)」은 1899년 10월 경기도 양주군에 있는 궁내부(宮內府) 소유의 둔토(屯土)를 정확히 파악해 보고하기 위해 작성된 문서이다. 궁내부 사검위원(査檢委員) 강봉헌(姜鳳憲)의 서명과 도장이 찍혀 있어, 궁내부에 보고되기 위해 작성된 문건임을 알 수...
-
1915년 경기도 양주군 백석면의 추수 내역을 기록한 문서. 「양주군 백석면 추수기(楊州君白石面秋收記)」는 1915년 10월 경기도 양주군 백석면의 추수 내역을 파악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현재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규27670]. 두락(斗落)은 단순 토지 면적을, 결부(結負)는 수확량을 기준으로 환산한 토지 면적을 의미한다. 필사본. 1책[7장]. 크기는 가로 21.9㎝, 세로...
-
1792년 정조가 경기도 양주와 포천의 백성들에게 특혜를 제공할 목적으로 직접 발급한 문서. 「어제유 양주 포천 부노민인등 서(御製諭楊州抱川父老民人等書)」는 1792년(정조 16) 9월 조선 제22대 왕 정조가 세조의 능인 광릉(光陵)에 행차한 뒤 인근 양주·포천의 노인들을 불러 그들의 어려움을 경청한 후 각종 혜택을 제공할 목적으로 이 지역 백성 및 관리들에게 내린 윤음(綸音)이...
-
경기도 양주 지역이 나타나 있는 조선 후기에 제작된 지도. 고지도란 통상 근대적 지도 제작 기술이 도입되기 이전에 만들어진 지도를 일컫는다. 현재 한국에 남아 있는 고지도는 조선 시대의 것으로 그 이전 것은 기록으로 확인되고 있다. 조선 시대에 양주의 영역은 오늘날 남양주시, 구리시, 의정부시, 동두천시, 연천군 전곡읍·청산면 일대에까지 걸쳐 있었기 때문에 당시 그려진 양주 지도가...
-
1750년대에 편찬된 『해동지도(海東地圖)』의 경기도 양주목에 해당하는 부분. 『해동지도』는 국가 차원에서 제작된 방대한 분량의 채색 필사본 지도로, 조선 전도를 비롯해 도별도, 군현 지도, 세계 지도가 망라되어 있다. 2008년 12월 22일 보물 제1591호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태고 4709-41]. 그중 「해동지도 양주(海東地圖楊州)」는 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