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400489
한자 三一運動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전라남도 영암군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이기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개 시기/일시 1919년 4월 10일연표보기 - 영암읍과 구림리에서 만세 시위
발생|시작 장소 회사정 광장 -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서구림리 서호정 마을지도보기
발생|시작 장소 구림 공립 보통학교[구림 초등학교] -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동구림리 93-1지도보기
성격 독립 운동
관련 인물/단체 조극환|정학순|최민섭|최한오|박규상|조병식|김민규|최기준

[정의]

1919년 3월 초부터 4월 하순까지 영암 지역을 비롯하여 전국적으로 전개된 항일 운동.

[개설]

1919년 3월 초 영암군에도 3·1 운동의 소식이 전해지자 조극환(曺克煥)·최한오(崔漢五) 등 영암읍구림리의 뜻있는 이들이 만세 시위를 준비하였다. 시위를 몇 차례 시도하였으나 성공을 거두지 못하다가, 결국 4월 10일 영암읍 장날에 맞추어 아침 일찍 「독립 선언서」를 배포하고 오전 아홉 시 영암 공립 보통학교 교정에서학생들을 비롯한 지역민들이 집결하여 만세 시위를 벌였다. 또한 같은 시각에 회사정(會社亭) 광장에서도 학생들과 군민들이 모여 만세 시위를 벌였다.

[역사적 배경]

전통적으로 영암군은 호남 지역 교통의 요지이며 물산이 풍부한 지역이었다. 그만큼 일본 제국주의 자본에는 주요한 침투 대상이었고, 그래서 강력한 경제적 침략의 위협 아래 놓여 있었다. 게다가 일찍 사족(士族)의 문화가 발달하고 일제 침략에 저항하는 의병 활동이 활발한 고장이었던 만큼 항일 운동의 전통도 뿌리가 깊었다. 따라서 3·1 운동의 소식도 비교적 일찍 접하게 되었다.

[경과]

조극환은 1908년 한성 사범 학교를 졸업하고 영암에 내려와 있으면서 송내호(宋乃浩) 등이 주도한 비밀 결사인 ‘수의 위친계(守義爲親契)’에 가담하는 등 항일 운동에 참여하고 있었다.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나자 조극환이 주동이 되어 3월 11일 영암 장날에 맞추어 만세 시위를 시도하였으나 일본 관헌이 눈치 채고 감시를 강화하는 바람에 성공하지 못하였다. 3월 20일에도 밤에 산에 올라 불을 피우고 만세를 부르는 산호(山呼) 투쟁을 몇 곳에서 벌이기도 하였으나 산발적인 투쟁으로 그쳤다.

이에 영암읍조극환·정학순(鄭鶴順)·최민섭(崔旼燮)과 군서면 서구림리의 최한오·박규상(朴奎相)·조병식(曺秉植)이 연락하여 영암읍내와 구림리 두 곳에서 동시에 만세 시위를 벌일 것을 계획하였다. 이들은 4월 10일 장날을 거사일로 잡고 구림리간죽정(間竹亭)을 임시 연락처로 정하였으며 군서면 서기로 있던 최민섭·김재홍(金在洪)이 면사무소의 등사판을 이용하여 「독립 선언서」와 『독립신문』, 태극기를 인쇄하는 등 시위 준비를 착착 진행하였다.

4월 10일 아침 아홉 시 영암읍구림리에서는 보통학교 학생들과 지역민들이 동시에 모여 시위를 벌이기 시작하였다. 회사정 광장에서는 영암 보통학교 학생들과 읍민들이 집결하였고 박규상이 「독립 선언서」를 낭독하자 일제히 독립 만세를 외치고 「독립가」를 부르며 영암읍내 중심가로 진출하였다. 이내 시위대는 장을 보러 온 사람들과 합세하여 1,000여 명에 이르렀으며 최한오·조극환·박규상·정학순·김민규(金敏圭) 등이 시위행진을 지휘하였다.

한편, 최기준(崔基俊)·조병식은 아침 아홉 시 정각 구림 공립 보통학교 교정에서 학생들과 지역민들을 불러 모으고 만세를 부른 다음 300여 명이 대열을 지어 행진하여 면사무소에 쇄도하는 등 군내를 누볐다.

[결과]

4월 10일의 만세 시위가 벌어진 이튿날인 11일부터 일본 경찰은 시위자들을 체포하기 시작하였다. 영암읍구림리의 지사와 청년, 학생 약 30여 명이 끌려갔으며 그중에서 20여 명은 5개월에서 2년간 징역형을 살았다. 「독립 선언서」를 낭독하였던 박규상은 병보석으로 석방되었으나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세상을 떠났다.

[의의와 평가]

3·1 운동 이라는 전국적이고 전 민족적인 항일 항쟁은 한민족으로서는 민족의 실체와 독립의 가능성을 실감할 수 있었고, 일본으로서는 식민지 통치 정책을 전환하지 않을 수 없게 된 계기로 작용하였다. 또한 영암 지역의 3·1 운동은 항일 의병 투쟁의 전통을 계승하면서, 이후에 전개될 민중 중심의 반제국주의 투쟁의 시초가 되는 사건이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