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구미문화대전 > 구미향토문화백과 > 삶의 주체(성씨와 인물) > 근현대인물 > 정치인
-
경상북도 구미 출신의 정치가. 김윤환은 경북고등학교와 경북대학교 영문학과를 거쳐 미국 오하이오대학교 신문대학원을 수료하였다. 1955년부터 대구일보사를 시작으로 동화통신을 거쳐 조선일보사의 기자로 활동하였다. 이후 주일·주미 특파원으로 활동하였고, 1975년부터 조선일보사의 편집국장을 역임하였다. 1979년 제10대 국회의원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이후 11·13·14·15대 국회의원...
-
경상북도 구미 출신의 정치가. 김재규는 1945년 경북사범대학교 중등교원 양성소를 수료하고 김천중학교의 교사로 재직하다가 1946년 육군사관학교에 들어갔다. 1952년 육군대학을 졸업하였고, 1954년 연대장을 거쳐 1957년 육군대학 부학장을 지냈다. 1961년 5·16군사정변 이후 호남비료 사장으로 임명되었고, 1964년 6·3사태 때에는 준장으로 계엄군을 지휘하였으며, 이후...
-
경상북도 구미출신의 군인이며 정치가. 박정희는 경상북도 선산군 구미면 상모리(현 구미시 상모동) 출신의 군인·정치가로, 호는 중수(中樹)이다. 1961년 5월 16일 군사 쿠데타로 집권한 이래 대한민국 제5대·제6대·제7대·제8대·제9대 대통령을 역임하여 18여 년간을 집권하였다. 대한민국 역대 대통령 중 가장 오래 집권한 박정희가 재임 기간 중 이룩한 성과에 대해서는 상반된 평가...
-
개항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자는 경규(景圭), 호는 자유재(自有齋). 아버지는 문헌공(文獻公) 윤치희(尹致羲)이다. 윤용선은 1885년(고종 22) 증광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896년 아관파천 직후 성립된 친러 정부에 보수 세력의 일원으로 참여하여 탁지부대신(度支部大臣)으로 있다가, 4월 22일 내각 총리대신으로 임명되었다. 같은 해 9월 관제를 개...
-
개항기 인동도호부사와 선산군수를 역임한 무신. 이교준은 무과에 급제하였으며 1871년(고종 8) 3월 26일 인동도호부사(仁同都護府使)로 부임하여 1875년 7월 24일 도정(都政)에 의하여 대흥중군(大興中軍)으로 옮겼다. 1895년 3월 충청도병마절도사에 제수되었으며 같은 해 6월 18일 행정구역 개편으로 선산군이 신설되자 7월 21일 초대 선산군수(善山郡守)로 부임하였고, 18...
-
개항기 경상북도 구미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1879년(고종 18) 경상좌도암행어사로서 인동부(仁同府)의 민폐를 시정하고 조세를 감면하여 부민의 고통을 덜어주었다. 이후 1884년 성균관대사성, 1885년 이조참의를 역임하였다. 1879년(고종 16) 5월 인동읍민에 의해 수의이공만식영세불망비(繡衣李公萬植永世不忘碑)가 세워졌으며 현재 경상북도 구미시 임수동 409-3번지[수출대로...
-
개항기 구미 출신의 문신.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공유(公裕), 호는 운정(雲庭). 장금용(張金用)계로서 산음현감 장옥(張鈺)의 8대손이다. 할아버지는 사호옹(四好翁) 장학추(張學樞), 아버지는 장석구(張錫龜)이다. 14세 때 중부인 장석용(張錫龍)에게 입양되었다. 백부는 장석봉(張錫鳳)이다. 장승원은 1885년(고종 22) 증광 문과에 급제한 후 승정원주서를 시작으로 홍문관,...
-
경상북도 구미 출신의 정치가. 창랑(滄浪) 장택상(張澤相)은 일제강점기에 영국 에딘버러대학교에 유학하여 정치학을 전공하고 귀국하여 항일 운동을 했다. 1945년 해방 이후 영국에서 교육받은 경력과 영어에 능통한 점을 인정받아 미군정 때 수도경찰청장을 맡아 좌익 세력 타도에 앞장섰다. 이승만 정권 출범과 함께 초대 외무부장관을 지냈으며, 1950년에 제2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고, 6...
-
경상북도 구미에서 활동한 행정가. 본관은 김해. 1904년 9월 4일 아버지 허종(許鍾)과 어머니 이녕발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이남이·권태을·주류조이다. 허흡의 가계는 임은동 입향조 허돈(許暾)에서 시작하여 허임(許恁) - 허정(許柾) - 허훈(許薰) - 허숙 - 허종(許鍾) - 허흡(許洽) - 허억(許檍) - 허렴(許燫)으로 이어진다. 허흡의 묘소는 경상북도 청송군 진보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