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거 성씨[달성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80008
한자 世居姓氏[達城郡]
이칭/별칭 세거,성씨,본관,토성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재영

[정의]

대구광역시 달성 지역에서 여러 세대에 걸쳐 계속하여 살아오고 있는 성씨.

[개설]

세거 성씨(世居姓氏)는 어떤 가문이나 인물이 달성 지역에 정착하여 세거하면서 발생하게 된다. 이 때문에 세거 성씨는 입향조(入鄕祖)가 있게 마련인데, 입향조는 실존한 인물로서 추적이 가능한 경우도 있지만 역사가 오래되어 막연히 성씨만 구전되는 경우도 있다.

우리나라의 성씨 제도는 중국 제도의 영향을 받았으며, 한자 문화의 유입 이후인 삼국 시대에 나타난다. 고대 국가에서는 주로 왕족이나 극히 일부의 중앙 귀족에게서만 보이다가, 고려가 후삼국을 통일한 이후 성씨 제도가 본격적으로 행해지기 시작하였다. 나말 여초(羅末麗初)의 격심한 사회 변동에 따른 신분제의 재편성 과정에서 태조 왕건(王建)[877~943]은 전국의 지방 호족을 출신 지역별로 정치적 역학 관계를 고려하여 지역적⋅신분적으로 재편하였고, 그 과정에서 생겨난 것이 성씨 체계였다. 처음 지방 호족들은 고려 왕조의 개국에 적극 참여하여 개국 공신이 되고, 태조 왕건으로부터 성씨를 하사받았다. 이후 지방 호족들의 성씨는 출신지를 본관으로 하는 세거 성씨가 되었다. 처음에는 본관이 신분의 표시이기도 하였으므로 주로 지배층에서 사용하다가 후대로 내려오면서 성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일반 백성들도 성과 본관을 가지게 되었다.

그중에서도 달성군의 지명을 본관으로 하는 성씨로는 달성 서씨(達城徐氏), 달성 김씨(達城金氏), 달성 배씨(達城裵氏), 하빈 이씨(河濱李氏), 현풍 곽씨(玄風郭氏), 현풍 김씨(玄風金氏), 현풍 윤씨(玄風尹氏) 등이 있다. 이 외에 달성군의 지명을 본관으로 하지는 않지만 달성군에 세거해 온 유명 성씨들도 많다. 이런 성씨를 세거 성씨라고 하며, 이들이 누대를 걸쳐 살면서 종족 집단을 이루고 있는 마을을 집성촌이라고 한다.

[달성 지역을 본관으로 하는 성씨]

달성 서씨는 시조가 서진(徐晋)이다. 고려 시대 봉익대부(奉翊大夫), 판도판서(版圖判書) 등에 오르면서 나라에 공을 세워 달성군(達城君)에 봉해지면서 달성을 식읍으로 하사받아 세거하게 되었다. 서진뿐만 아니라 아들 서기준(徐奇俊)과 손자 서영(徐穎)까지 3대가 ‘달성군’에 봉해졌다고 한다. 달성군 가창면 대일리 등에 서씨들의 세거 집성 촌락이 있다.

달성 김씨는 시조 김담(金淡)의 후손들이 본관을 달성으로 삼고 계보를 이어왔을 뿐 문헌이 없어 본관의 유래 등은 알 수 없다. 달성 군내에 세거지도 확인되지 않고 있다.

달성 배씨는 배운룡(裵雲龍)이 시조이다. 고려 개국 일등 공신 배현경(裵玄慶)[?~ 936]의 현손(玄孫)[5세손]이다. 1759년 간행된 『김해 배씨 세보(金海裵氏世譜)』에 의하면 배헌의 손자이며, 삼중대광 가락군에 봉해진 배사혁의 셋째 아들로 알려졌다. 『달성 배씨 족보(達城裵氏族譜)』에 의하면 배운룡이 고려 시대에 벼슬하여 나라에 공을 세워 ‘달성군’에 봉해진 것을 연유로 후손들이 달성을 본관으로 삼게 되었다고 한다. 달성 군내에 달성 배씨들의 세거지는 없다.

하빈 이씨는 이거(李琚)가 시조이다. 이거는 고려 명종 때 예부 상서(禮部尙書)를 지냈고, 나라에 공을 세워 하빈군(河濱君)에 봉해졌다. 이로써 후손들은 하빈을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 왔다. 이거가 하빈군에 봉해지게 된 이유는 1174년(명종 4) 서경유수 조위총(趙位寵)이 병사를 일으켜 정중부(鄭仲夫)와 이의방(李義方) 등을 평정할 때 공을 세웠기 때문이다. 현재도 달성군 하빈면에 세거 집성촌이 있다.

현풍 곽씨는 시조가 송나라에서 고려로 귀화한 곽경(郭鏡)이다. 1930년 곽경의 묘지에서 출토된 지석에 의하면, 곽경은 중국 관서의 홍농인으로서 고려에 귀화한 후 1138년(인종 16) 과거에 급제하여 문하시중평장사를 지냈고 금자광록대부에 올랐으며, 현풍의 옛 이름인 포산군(苞山君)에 봉해졌다. 현풍 곽씨의 세거 집성촌은 전국에 걸쳐 분포하고 있지만 성씨의 모촌인 달성군 현풍읍 대리 솔례 마을을 중심으로 달성 군내에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이고 있다.

현풍 김씨는 시조가 김수이다. 신라경순왕의 셋째 아들 영분공 김명종의 후손 김천서의 현손으로 조선 시대에 족친위장을 지냈다고 한다. 그 뒤 후손들이 그를 시조로, 현풍을 관향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 왔다. 그러나 현재 달성 군내에는 현풍 김씨들의 세거 집성촌을 확인할 수 없다.

[달성 지역에 입향한 세거 성씨]

달성군의 지명을 본관으로 하지는 않지만 달성군에 세거해 온 유명 성씨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그 대표적인 성씨가 남평 문씨(南平文氏), 청도 김씨(淸道金氏), 순천 박씨(順天朴氏), 나주 임씨(羅州林氏), 우록 김씨(友鹿金氏), 인천 채씨(仁川蔡氏), 광주 이씨(光州李氏), 전의 이씨(全義李氏), 동래 정씨(東萊鄭氏), 추계 추씨(秋溪秋氏), 청주 양씨(淸州楊氏), 성주 도씨(星州都氏), 파평 윤씨(坡平尹氏), 단양 우씨(丹陽禹氏), 충주 석씨(忠州石氏), 서흥 김씨(瑞興金氏), 경주 최씨(慶州崔氏), 연안 차씨(延安車氏) 등이다. 이들은 달성군 내의 한 마을 혹은 지역에 입향하여 누대를 거쳐 집단으로 살면서 집성촌을 형성하고 있다. 지역별로 대표적인 집성촌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가창면: 가창면 대일 1리 대일박 마을 달성 서씨 집성촌, 가창면 우록 1리 사성 김해 김씨 집성촌, 가창면 우록 2리 백록 마을 단양 우씨 집성촌 등이 있다.

2. 구지면: 구지면 도동리 서흥 김씨 집성촌, 구지면 수리 2리 창녕 조씨 집성촌, 구지면 오설리 군위 방씨 집성촌, 구지면 유산리 옥산 전씨 집성촌, 구지면 응암 3리 큰개 마을 파평 윤씨 집성촌, 구지면 징리 경주 이씨 집성촌, 구지면 창 2리 창동 마을 김해 김씨 집성촌 등이 있다.

3. 논공읍: 논공읍 삼리 1리 씩실 마을 광주 이씨 집성촌이 대표적이다.

4. 다사읍: 다사읍 달천리 달래 마을 청주 양씨 집성촌, 다사읍 매곡 1리 매실 마을 김해 김씨 집성촌, 다사읍 문산리 파평 윤씨 집성촌, 다사읍 문양 1리 용두골 동래 정씨 집성촌, 다사읍 문양 2리 서부실 성주 이씨 집성촌, 다사읍 박곡리 박실 마을 동래 정씨 집성촌, 다사읍 방천리 박실원 마을 문화 유씨 집성촌, 다사읍 서재리 도촌 성주 도씨 집성촌, 다사읍 세천리 굼마 능성 구씨 집성촌, 다사읍 이천리 이내 마을 추계 추씨 집성촌 등이 있다.

5. 옥포읍: 옥포읍 교항리 다리목 마을 청도 김씨 집성촌, 옥포읍 기세리 기세골 충주 석씨 집성촌, 옥포읍 송촌리 솔비골 선산 배씨 집성촌, 옥포읍 신당리 파평 윤씨 집성촌 등이 있다.

6. 유가읍: 유가읍 금 1리 금리 마을 청도 김씨 집성촌, 유가읍 도의 1리 장샘이 마을 현풍 광씨 집성촌, 유가읍 한정리 현풍 곽씨 집성촌 등이 있다.

7. 하빈면: 하빈면 묘리 묘골 마을 순천 박씨 집성촌, 하빈면 무등 2리 하빈 이씨 집성촌, 하빈면 봉촌 1리 김녕 김씨 집성촌, 하빈면 하산리 너울티 청주 양씨 집성촌, 하빈면 하산리 전의 이씨 집성촌 등이 있다.

8. 현풍읍: 현풍읍 대 1리 소례 마을 현풍 곽씨 집성촌, 현풍읍 대 2리 범안골 경주 최씨 집성촌, 현풍읍 오산 2리 흘개 마을 연주 현씨 집성촌, 현풍읍 자모리 연안 차씨 집성촌, 현풍읍 지 1리 못골 마을 서흥 김씨 집성촌, 현풍읍 지 2리 원당 마을 현풍 곽씨 집성촌 등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
관련항목